서예 세상

[스크랩] 서예가,동양화가,서양화가,

강나루터 2018. 9. 11. 05:15

   
                                   

서예가,동양화가,서양화가,

강덕원(姜德遠)- 서예가,호=예송(藝松),

강벽원(姜璧元,1859∼1941)지방의 명필,호=소우(小愚).

강사현(姜思賢)서예가,한국서화작가협회 회장.호=백암(白嚴).

강선규(姜善圭)~ 해서-서예가,호=우천(牛川).

강세황(姜世晃,1713~1791)→호=운(靑雲),

강신문(1892~1950) 서예가, 청운 강진희의 아들.조선의 문신,서화가이다.조선18세기 '예원의 총수',시·서·화 삼절.號=의산자(宜山子).첨재(),산향재(),표암(),

강수진(姜秀眞)서예가.호=성재(誠哉).

강신문(1892~1950)서예가,청운 강진희의 아들 본관은 진주.호=소청(紹靑).


강용범(姜容範)호=수암(修庵).

강용순(姜瑢淳)書藝家.호=오산(吾山).


강이오(姜彝五,1788~1857)강세황의 손자. 매화나 산수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하나 작품이 거의 전하지 않는다.

강진희(姜璡熙,1851~1919)자(字)는 진옥(進玉)이요 호(號)는 청운(菁雲)이며 본관은 진주(晋州)이다.

강창식(姜昶植)서예가,성균서도회.호=창헌(創軒).

강창원(姜昌元)성균서도회 지도강사(1966~1977).호=소지(昭志).

강필주(187?~193?)동양화가.호=위사(渭士).

강행원(姜幸遠)→서예가,성균서도회 지도강사(1984~ ),호=윤산(允山).

강현식(1945~ )→한국화가. 호=벽산(碧山).

강희맹(姜希孟,1424~1483)세조 등극의 공신인 문인 화가. 세종의 이질이자 화가 강희안의 동생이다.

강희안(姜希顔)조선초기 선비화가,강희맹의형,시·서·화 삼절(三絶).號=인재(仁齊).세종대왕이 이모부에 해당하며 문종과 세조는 사촌이다. 집현전 학사로 사육신 사건에 연루됐으나 성삼문의 비호로 목숨을 건졌다. 그림과 글씨를 잘 썼다.
강희언(姜熙彦,1738~1784)조선시대 후기의 중인 화가. 정선에게 그림을 배웠다. 강세황과 교유가 깊었으며 그의 제자인 김홍도와도 교분이 두터웠다. 유작은 많지 않다.
고 강(高崗)→書藝家. 호=청암(靑菴).

고봉주(高鳳柱,1906~1993)전각대가,호=석봉(石峯),전각대가,자(字)는 자위(子緯). 본관인 청주(淸州)이며 충남 예산(禮山)에서 태어났다.

고유섭(1905~1944) 1905년 인천 용현동 출생. 조선 미술의 줏대를 고립한 미술사학.

고재봉(1913~1966)서예가. 호=석당(石堂).


고후규(高后閨)서예가.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號=벽송(碧松).
고희동(高羲東,1886~1965)국내 첫서양화가,호=춘곡(春谷).

곽노봉(郭魯鳳)서예가,호=철견(鐵肩).

곽상록(郭常錄) 서예가,성균서도회.호=죽서(竹西).

곽석규(1862~1935)서화가. 호=석강(石岡).

곽용남(193?~ )서예가.호=곡산(谷山).

곽유곤(1832~1905)→유학자.호=묵와(默窩).

곽정우(郭廷宇)- 한문 서예가,號=학산(學山),

구본웅(1906~1953)서양화가.호=서산(西山).

구자송(具滋松)→書藝家. 호=들메().



구지회(具池會) 서예가,호=소석(素石).
구창용(丘昌龍) 서예가, 호=매호(梅湖).

권갑석(權甲石,1928-2008)- 서예가,호=여산(如山).

권동수()→한말의 문신,서예가이며 애국지사.자=치영(致永).벼슬은 영사(領事)에 이르렀다.호=석운(石雲).
권두호(權斗鎬)서예가. 호=춘강(春岡).

권성하(權聖河)書藝家.호=유정(柳丁).

권시환(權時煥)→書藝家. 호=지산(池山).

권영도(權寧燾,1915~2004)-서예가,문인화,전주지역의 대표적 향토작가.호=월담(月潭).







권용완(權容完) 서예가. 호=죽사(竹史),

권인호(權寅鎬)書藝家.호=효정(曉丁).

권창륜(權昌倫,1943~ )~ 목간 예서,서예가.한국서단의 거봉.호=초정(艸丁).2005년에는 옥관(玉冠)문화훈장을 수훈(受勳)하였다.

금기풍(琴基豊)서예가,호=우정(友汀).

금현창(金鉉倉)→서예가,호=효천(曉川).

기대승(奇大升,1527~1572)→호=고봉(高峰),존재(存齋), 조선문인서예가.서예가.高峰集.

기호중(奇浩仲)서예가. 호=유당(裕堂).

길덕남(吉德南)서예가,호=웅아(雲雅).

김갑룡(金甲龍)서예가,호=옛길(),

김건표(金建杓)서예가. 호=중하(中河).

김경승(1915~1992)→조각가, 지연 김인승의 동생, 친일 예술가.호=표천(瓢泉).

김경원(金景源,1901~1967) 한국화가.號=탄월(灘月).서화 협회 회원,

김계천(金桂仟)서예가, 호=여송(如松).

김관호(1890~1959)→서양화가, 호=동우(東愚).

김광업(金廣業,1906-1976)서예가.자(字)는 수덕(樹德)이요 호(號)는 운여(雲如),운여(云如)이며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평양에서 출생.김광영(金匡泳,)서예가, 호=정암(正菴).

김광추(金光秋,생몰미상)제주 출신의 서예가.號=청탄(聽灘)-김 구(金龜)- 號=목원(炑原).

김 구(金絿,1488~1534)문인,서예가.號=자암(自庵).

김규진(金圭鎭,1868 ~1933)書畫家.號=해강(海崗).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무기옹(無己翁).취옹(醉翁).서화 연구회를 창설하여 근대 한국 서화 미술 발전에 공헌하였다,청강 김영기의 부친.

김규태(金奎泰,1902~1966)서예가.호=고당(顧堂).

김규택(,1906~1962)→만화가, 작가,호=웅초(熊超).

김극선(1958~ )→서화가.명산(明山)-~.





김근배(金根培)서예가,호=가산(嘉山).

김근진(金瑾鎭)근대 서화가.號=중당(中堂),

김기승(金基昇,1909~2000)서예가,호=원곡(原谷).서예가,화가,김정환의 아들, 김명호의 부친 자는 덕경, 이명 기두,

김기창(金基昶,1914∼2001) 한국의 동양화가.호=운보(雲甫),운포(雲圃)-

김기홍(金基洪)서예가.호=석강(石江).

김단희(1941~ )서예가. 호=경후(景候).

김대환(1933~2004)→조각가, 음악가.호=흑우(黑雨).

김덕성(金德成,1729~1797)영,정조 시대의 화원으로 화원 김두량의 조카이다. 도석인물도를 잘 그렸다.
김덕하(金德夏,1722~1772)영조 때의 화원으로 화원 김두량의 아들이다. 숙종어진 제작 때 장만득과 함께 활약했다. 이때 윤덕희는 감독관으로 참가했다. 1744년 아버지와 함께 그린 는 밑그림은 아버지가, 채색은 김덕하가 했다.
김도동(金度動)서예가, 호=여암(如菴).

김도형(金道衡)서예가,성균서도회.호=송헌(松軒).

김돈희(金暾熙,1871∼1937)대한제국의 관료 겸 일제 강점기의 서예가이다. 호=성당(惺堂).국담(菊潭).1634년과 1643년 두 차례에 걸쳐 통신사의 수행 화원으로 일본을 다녀왔다. 산수 및 산수 인물화를 잘 그렸다







김동연(金東淵,1948~)書藝家.호=운곡(雲谷),

김두량(金斗樑,1696~1763)18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화원 화가. 화원 함제건의 외손자이다. 산수를 비롯해 인물, 풍속에 두루 능했다.
김득신(金得臣,1754~1822)대대로 화원을 배출한 개성김씨 집안 출신. 화원 김응리(金應履)의 아들이며 김응환의 조카이다. 화원 한중흥(韓重興)의 외손자이다. 동생 석신, 양신은 물론 아들 김건종, 김수종, 김하종도 모두 화원이다. 1791년 정조어진 제작에 김홍도, 이명기, 신한평과 함께 참여했다.

김득신(金得臣,1754∼1822)긍재(兢齋),조선후기의 화가.김명국(金命國,1600~ ? )~ 조선중기의 화가.인물 수석화가.호=연담(蓮潭).취옹(醉翁),

김명자(金明子)書藝家.호=유정(柳亭).

김명현(金明賢)서예가,성균서도회.호=예천(禮泉).

김민숙(金敏淑)서예가.호=취산(翠山).

김방희(金芳姬)書藝家.제1회서예문화상수상, 호=다솔().

김보금(金寶今)→書藝家.호=남정(南汀).







김복진(金復鎭,1901~1940)조각가.호=정관(井觀).일본 도쿄 미술 학교를 졸업하고, 1921년에 극단 ≪토월회≫의 창립 동인으로 활약하였다. 1930년에 ≪중앙일보≫ 학예부장을 지냄,

김봉근(金鳳根)서예가,호=우석(于石)-

김사달(1928~1984)→ 서예가, 의학박사. 호=서봉(西峰),



김사석(1875~1953)→ 서예가, 호=성재(惺齋).

김상용(金尙容,1561~ 1637)조선중,후기의 문인,시인,정치가,서예가,의정부우의정에 이름,호=선원(仙源).풍계(楓溪),계옹(溪翁)-

김상유()~ 인천출신의  판화 예술과.

김상필(1914~1993)서예가. 호=경암(景岩).

김석기(194?~ )한국화가.호=우송(雨松).

김석신(金碩臣,1758∼ ? )화원 김응리(金應履)의 둘째 아들. 김득신(金得臣)의 동생이자 김양신(金良臣)의 형이다. 큰아버지이자 화원인 김응환(金應煥)에게 양자로 갔다. 정선의 진경산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김석익(金錫翼,1885-1956)글씨(草書),일제강점기 때 제주 출신의 한학자이자 향토사학자.20세기 제주학(濟州學)의 거장.호=심재(心齋)-

김석준(金奭準,1831~1915)~서예가, 문신. 호=소당(小棠),


김선일(金善日)한국화가, 호=관송(冠松).

김성곤(金成坤)書藝家.호=추봉().

김성근(1835~1919)→문신, 서예가. 호=해사(海士),

김성덕(金成德)- 서예가,호=신산(信山).

김성환(金聖煥)→書藝家. 호=청곡(淸谷).

김수연(金秀娟)서예가, 호=용연(容淵),

김수진(金秀珍)書藝家.호=서현(徐賢).

김수철(金秀哲, ? ~1862)~ 생몰년이 불분명한 중인화가. 를 그린 1862년까지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전기(田琦)를 통해 그림을 주문받기도 했다. 김창수(金昌秀)와 동일인 또는 형제인 것으로 추정된다.

김순옥(金順玉)서예가,성균서도회.호=송원(松園).


김순욱(金淳郁)~ 전각서예가,철농(鐵農)이기우의 제자,호=하농(荷農).

김 시(金禔,1524~1593)~ 조선전기의 문인 화가. 좌의정을 지낸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과거에 응하지 않고 그림만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그림을 잘 그린 김기(金祺)는 동생이며 또한 문인화가인 김식(金埴)과 김집(金潗)은 손자이다. 산수, 우마, 영모, 초충에 이르기까지 모두 정묘하다
김 식(金埴,1579~1662)~ 문인화가 김시의 손자. 특히 조선 중기에 소그 림을 잘 그린 것으로 이름 높았다.
김양기(金良驥,1792∼1844)~ 김홍도의 아들. 조희룡과 교유했다. 산수, 화조, 풍속을 잘 그렸으며 부친의 영향이 짙은 작품을 남겼다.
김양동(金洋東,1943~ )~ 전각가,현대서를 포함한 전통서체를 망라한 독특한 도판작업,호=근원(近園).

김언식(金彦式)서예가,성균서도회, 호=상계(尙谿).


김연춘(金淵春)서예가,성균서도회.호=여헌(如軒).

 

김 영(金瑛,1837~ ? )조선말기의 화가.중인 시사인 칠송정시사(七松亭詩社)의 회원이며 김석준, 장승업 등과 교유했다. 산수를 잘 그린 외에 묵죽, 행서에도 능했다. 장승업의 작품에 화제를 대신 써준 경우가 많다.호=춘방(春舫).

 

김영기(金榮基)서예가,호=로림(露林).

김영기(金榮基)각체에 능한 서예가,호=무림(霧林).

김영기(金永基,1911~2003)서울출생으로 아버지는 한국의 근대 서화가인 해강(海岡)-김규진(金圭鎭).號=청강(晴江),여해(如海).

김영면(金永冕,1800~1829)조선후기의 서화가로 요절했다. 서원시사(西園詩社)의 여항시인들과 교유했으며 신위, 임희지, 이인문과도 교류했다. 중인 시집 『풍요삼선(風謠三選)』에 시가 실려 있다.

김영삼(金永三)서예가,문인화,호=우송헌(愚松軒).

김영선(金英善)서예가,호=죽림(竹林),

김영승(金英勝)서예가.호=옥천(沃川).

김영찬(金永贊)서예가. 호=율전(栗田).


김영창()서예가.號=진환().

김영환(金永煥)서예가, 호=부암(富岩).

김완영(金完泳)→書藝家.한국서가협회 자문위원.호=백하(白河).

김용갑(金容甲)書藝家.대한민국서예전람회 심사 역임.호=직암-(直菴).



김용식(金龍植,1903∼ ? )漢詩作家, 金海 雲坡文稿,호=운파(雲坡).

김용옥(金容玉1914~1998)~ 서예가.號=묵해(墨海).

김용준(1904~1967)화가,미술평론가,미술사학자,수필가.호=근원(近園),선부(善夫),우산(牛山),노시산방주인(老枾山房主人).검려(黔驢),
김용진(金湧珍)
書藝家.한국서가협회 광주전람회 초대작가.호=죽정(竹亭).
김용진(金容鎭,1878~1968)~ 당대(當代)의 저명한 서화가 이며 감식가.호=구룡산인(九龍山人).향석(香石).영운(穎雲).

김용태(金鏞泰)書藝家.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15기).호=도촌(島邨).

김용태(金溶泰,1858-1934)근대의 문장가.전주시(全州市) 동문 밖 출신.서예가,기독교장로.계문학교(啓文學校) 설립자.호=가석(可石).

김용행(金龍行,1753~1778)~ 조선후기의 문인화가.

김우경(金佑卿)書藝家.한국서가협회 강원도지회장 (현).호=한섬(한섬),

김우범(金禹範)~ 일제강점기의 화가.호=석하(石下).

김 욱(金煜)→서예가.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호=소계(素溪).

김 원(1932~2002)→동양화가. 호=남강(南江),

김원익(金源翊)→서예가,호=양전(洋田).

김월옥(金月玉)→書藝家.세종한글서예대전 초대작가. 호=다원(다원).

김유근(金逌根,1785~1840)~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장남이다. 헌종의 왕비인 순원왕후는 누이동생이다. 추사 김정희가 곤경에 처했을 때 여러 번 도움을 준 것으로 유명하다. 글씨, 시, 그림 등 다방면으로 뛰어났으며 특히 바위를 잘 그렸다.
김유성(金有聲,1725∼ ? )~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1763년 통신사를 수행해 일본에 다녀왔다. 일본에서 남화의 대가 이케노 다이가(池大雅)에게 화법에 관한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정선의 진경산수 화풍 이외에 심사정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김유순(金有順)→書藝家.서예강사.호소연(素硏).

김윤겸(金允謙,1711∼1775)~ 김상헌(金尙憲)의 5대 후손. 조선후기 문인 김창업(金昌業)의 서자로 그림은 정선의 영향을 받아 진경산수를 그렸다. 둘째아들 김용행(金龍行)의 친구가 박제가(朴齊家)이다.

김윤길(金允吉,1930~2004) 서예가.호=변산(邊山).

김은호()- 號=청은(靑隱)-

김을순(金乙順)농업인서예대전 우수상, 초대작가.호=한빛(한빛).

김응섭(金應燮,1917~1989)경북 영양출생,대구에서 크게 활동하던 석재 서병오선생의 제자로 추사체 연구회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던 서예가이다.호=난곡(蘭谷).
김응원(金應元,1855~1921)조선말기의 난의 대가요 서예에도 능하였다.호=소호(小湖)-
김응학(金應鶴)→書藝家.성균관대학교.유학대학원 서예학전공 주임교수.호=석지().
김응현(金膺顯,1927~2007)~ 쌍수서예의 최고명필.호=여초(如初),완여(頑如),완도인(頑道人),경안재(景顔齋).무외헌(無外軒),벽산려(碧山廬).

김응환(金應煥,1742∼1789)~ 화원 노태현(盧泰鉉)의 외손녀 사위로 정조 때의 화원이다. 두 딸의 사위는 각각 이명기(李命基)와 장한종(張漢宗)이다. 동생 김응리(金應履)의 둘째 아들 김석신(金碩臣)을 양자로 삼았다. 1788년 정조의 명을 받고 김홍도와 함께 영동 9개 군과 금강산의 실경화를 그렸다.
김익주(金翊胄,1684 ~ ? )~ 도화원 화원은 아니지만 직업화가로 그림을 잘 그렸다. 숙종 때 두 번이나 어진 제작에 참여했다. 행적이 불분명하다.

김인승(金仁承,1910~2001)→서양화가.경기도 개성 출생,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출신의 한국 서양화 1세대 화가,호=지연(智淵).
김장현(金壯峴)서예가, 호=자암(紫巖).

김재봉(金載봉)書藝家.호=이촌().

김재인(金齋仁,1912~2005)~ 전각서예가, 호(號)는 심당(心堂)이며, 강원도 양구(楊口)에서 태어났다.

김 정(金淨,1486~1521)~ 조선초기의 문신. 신라 경순왕 김부(敬順王 金傅)의 후손이다. 기묘사화 때 제주도로 유배가 그곳에서 죽었다. 그림은 영모, 화조화를 잘 그렸다.

김정화(金正和)~ 서예가,호=여천(廬天).

김정희(金正喜,1786∼1856)~ 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號=추사(),병루,조선후기의 문인이자 서화가. 호조판서 김노경(金魯敬)의 장남. 영조의 부마인 김한신의 장손 김노영(金魯永)에게 양자로 갔다. 추사체라는 독창적 서법을 창안해낸 이외에 문기가 넘치는 남종화를 그렸다.
김정희(金正姬)- 서예가,성균서도회.호=소추(素秋).

김조순(金祖淳,1765~1832)~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4대손. 병조 판서, 이조 판서를 거친 문인화가. 딸이 순조의 비(정순왕후)로 간택돼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에 봉해졌다. 대나무를 잘 그렸고 묵죽의 대가 신위(申緯)와는 그림을 통해 깊이 교유했다.
김종대(金鍾大,1873~1949)~ 서예가.號=아석(我石).

김종영(金完泳)→서예가, 호=백하(白河).

김종호(金鍾皓)- 서예가,호=효월(曉月),

김주익(金周翼)서예가, 호=일정(逸亭).

김준근(金俊根,19세기 후반)~ 조선말기의 풍속화가. 가계나 행적은 자세하지 않다. 부산, 제물포 등 개항장에서 풍속화를 그려 서양인에게 팔았다. 그의 풍속화는 유럽, 미국, 일본 등지에 많이 전한다.

김준승(金俊承)서예가,성균서도회.호=청거(淸居).


김진여(金振汝,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평양 출신으로 조세걸(趙世傑)에게 산수, 인물, 화조화를 배웠다고 전한다. 평양 일대에서 초상 화가로 유명했다. 1713년 숙종어진 제작 때 한양에 왔으나 시험 때 실력을 발휘하지 못해 다시 되돌아갔다.
김진희(金珍熙)서예가,호=박여(樸與),성균서도회.

김창동(金昌東)예서의 서예가,號=창석(菖石).
김창섭(金昌燮)서예가. 호=벽산(碧山),

김창숙(金昌淑,1879∼1962)유학자·독립운동가·정치인.心山?草 ?翁?草.漢詩作家, 忠州 蘂城世稿附心山私稿? 호=심산(心山).











김창업(金昌業,1658~1721)노론 정치가이자 유학자인 김수항(金壽恒)의 넷째 아들. 시로 유명하다. 어려서 그림을 잘 그렸으나 부친에게 학업에 방해가 되는 그림을 그리지 말라는 말을 들었다. 서자 김윤겸(金允謙)도 그림을 잘 그렸다.
김창욱(1957~)한학자.도예가.호=오여(吾如). 

김창현(金彰顯)형제 서예가로 유명함.호는백아(白牙),여초-김응현(金膺顯),일중(一中)-김충현(金忠顯)의동생.

김천두(金千斗)남종문인화가(南宗文人畵家),호=소천(小天),

김춘태(金春泰)서예가,호=동오(東塢),

김충현(金忠顯,1921~2006)서예가,號=일중(一中).
김태석(金台錫,1875~1953)서예가.전서(篆書)·예서(隷書)·해서(楷書)에 뛰어났으며, 전각(篆刻)도 잘하였다.호=성재(惺齋).

 

 

김태수(金泰洙)서예가,호=반송(畔松),




김태수(金兌洙)書藝家.호=일도(一道).


 

 

김택련(金澤蓮)서예가,성균서도회.호=현하(玄河).

김택수(金宅洙)서예가,호=가산(嘉山).


김평호(金坪鎬)서예가, 호=목당(穆堂).





 

김하종(金夏鍾,1793~1875)대대로 화원 집안인 개성김씨 집안 출신. 김득신(金得臣)의 아들이며 김건종(金建鐘)은 동생이다. 인물화에 뛰어나 어진 모사에 여러 번 참여했으나 전하는 인물화는 없다. 산수화는 김홍도 화풍을 이은 진경산수를 많이 그렸다.
김학수(金學洙,1912~2010)기독교 풍속화가.동양화가.화백,호=혜촌(惠村).

김홍길(金洪吉)서예가, 호=풍천(豊泉).

김홍도(金弘道,1745~1806)조선후기의 화가,조선 3대 풍속화가(金弘道),(金得臣),(申潤福)).호=단원(檀園),단구(丹邱),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첩취옹(輒醉翁),

김후신(金厚臣,1735~ ? )화원 김희겸(金喜謙)의 아들로 행적은 불분명하지만 영정조 시대에 화원으로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희겸(金喜謙, ? ~ 1763)조선후기의 화원으로 김후신(金厚臣)의 아버지다. 중인 시집인 『풍요속선(風謠續選)』에 가 실려 있다. 정선의 화풍을 따른 산수화를 주로 그렸다.
김희두(金熺斗)서예가,호=학봉(學峰).

김희선(金希宣)서예가,호=옥산(玉山).

김희성(金喜誠, ? ~1763)조선후기의 화가.호=불염자(不染子),불염재(不染齋),

김희수(金羲壽)명필,호=동원(東園),

김희순(金熙舜,1881-1968)서예가,號=유당(酉堂).

공병일(孔炳壹)서예가.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號=휴산(休山)-

나창호(羅昌浩)서예가.호=설헌(雪軒).

남계우(南啓宇,|1811~1888)조선후기의 서화가,문인 화가로 나비를 잘 그려 남나비라고 불렸다. 나비 이외에 각종 화훼도 잘 그렸다.

남공철(南公轍,1760-1840)조선후기의 문신.문인화가.호=금릉(金陵).

남두기(南斗基) 전서의 서예가,호=시헌(是軒).

남성현(南成鉉)서예가, 호=무산(舞山),

남승철(南承澈)서예가.호=성재(誠齋).

노명래()서예가, 호=현보(玹甫).

노복환(盧福煥)~ 서예가,한국서예협회 이사장. 호=삼계(三溪).

노수현(1899~1978)→동양화가, 노헌용(1866~192?)의 손자, 노재석의 장남.호=심산(心汕).

노원상(1871~1926)→서화가.호=호정(湖亭).



도상봉(1902~1977)서양화가.호=도천(陶泉).
류최진(柳最鎭,1791~1869 )조선후기의 서화가,號=학산(學山).학산목재(學山木齋),정암(鼎庵),산초(山樵), 

마군후(馬君厚,18세기 후반~19세기 초)~ 생애와 행적은 불명확하다. 인물과 영모를 잘 그렸으며 1851년에 그린 를 통해 이 무렵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맹관영(孟寬永)~ 문인화와 행초서를 끊임없이 연마해 온 언론인 출신의 서예가.호=우전(禹田).

묵 희(墨 熙,1878~ ? )~ 경산(敬山)- 경남고성 출신 서예가. 일명 구절산인(九節山人)

문공열(文功烈)書藝家.중국인민대학 서비홍예술학원 서법지도 강사(현).호=백민().

문류섭(文柳燮)서예가,성균서도회. 호=중재(重齋).

문정자(文貞子)- 書藝家. 호=가을()

문준형(文濬亨)- 서예가,성균서도회.호=서호(西湖).

민경갑(1933~ )서예가, 한국화가.호=유산(酉山).








민병석(1858~1940)문신, 서예가,친일파,인재 민복기의 부친 자는 경소.호=의재(毅齋),시남(詩南).

민영익(閔泳翊,1860~1914)~ 정치인,서화가,호=원정(圓丁),운미(芸楣),죽미(竹楣),천심죽재(千尋竹齋),

민태식(閔泰植)- 서예가,성균서도회 초대지도교수(1965~1970).호=동교(東喬),
민택기(1908~1936)→서화가.호=운해(雲海),설해(雪海),

박경동(1944~ )서예가.호=운학(雲鶴).

박경호(194?~ )동양화가.호=수암(首岩).

박규진(朴奎鎭,1858∼ ? )~ 호=외당(畏堂)--

박규환(1868~1916)→화가.호=표원(表園).

박기양(朴箕陽,1856~1932)~ 서화협회고문을지냄.호=석운(石雲),

박기정(1874~1949)서화가, 화강 박영기의 조부,호=차강(此江),강재(江齋).강옹(江翁). 자는 일원,

박내현(1920~1976)→화가, 운보 김기창의 부인.호=우향(雨鄕),

박노수(1927~ )→동양화가.호=남정(藍丁).

박동규(朴東圭)書藝家. 호=창봉(滄峰).

박동보(朴東普,1673~ 1744)~ 화원.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을 따라 통신사 수행화원으로 일본에 갔다. 함세휘(咸世輝)와 함께 영조어진 제작에 참여했으며 장득만(張得萬)과는 세조어진을 그렸다.

박두성(朴斗星,1888~1963)- 한글 점자(點字) 창안자.《신약성서》점역 도서 76종.
박득배()- 문인화가,호=효강(),취산(翠山)박석규(朴碩奎),毅齋(의재)許百鍊(허백련)등에게서 사사함.
박득순(1943~ )→서양화가. 호=문암(門岩).

박득순(1910~1990)→서양화가. 호=소성(素城).소리(素里).

 


박명찬(朴明讚)~ 東萊鄕校의 典校,서예가,號=동계(東溪).

박봉규(朴奉珪)~ 성균서도회,서예가,호=아사(雅史),

박상길(朴象吉)- 서예가,호=득봉(得峰).

 










박상찬(朴商贊)~ 행초 서예가,호=노정(盧丁).박생광(1904~1985)→화가. 호=내고(乃古).

박석규(朴碩奎)~ 화가,호=취산(翠山),

박세림(朴世霖,1924∼1975)- 인천출신의 유명 서예가,1958~1975년 국전에 출품해 문교부장관상도 받았으며 초대작가가 되고 심사위원도 역임하였다.호=동정(東庭),

박세원(1922~1999)서화가.호=심경(心耕).

박순자→書藝家.(한국미술협회 회원).호=청남().








박승무(1893~1980)한국화가.안중식(安仲植),조석진(趙錫晋)에게 사사.호=심향(深香),심향(心香),소하(小霞).

박승배(朴勝培)행서,서예가.호=송산(松山).





박양재(朴良在)書藝家.호=운학(雲壑).

박양준(朴洋濬)서예가, 호=지원(志原),박영기(1922~ )→서화가, 차강 박기정의 손자.호=화강(化江).

박영길()~ 화백,대한민국 표준영정 제67호(장영실 영정) 화가로 공식 지정된 국내 화단의 거장.號=지산(芝山).

박영도(朴映度)- 서예가, 호=해민(海民).

박영성()~ 인천 출신 화가, 인천이 배출한 우리나라 수채화 분야의 개척자이다.

박영옥(朴永玉)書藝家. 의사.한국서도협회 부회장. 호=연당(蓮堂).
박영진(朴榮鎭)- 서예가,호=일도(一濤).

박외수(朴外洙)→書藝家.호=지헌(只軒).

박 용(朴容卨,1947~ )~ 서예가,호=초만(艸民).

박원규(朴元圭,1947~ )~ 서예가,호=하석(何石).석곡실(石曲室) 등이며 전북 김제에서 출생하였다

박유성(朴維城,1745∼1816)~ 대대로 왜어전문 역관집안 출신. 본인은 화원이다. 동생 박세장(朴世章)도 역관이다. 김홍도와 동갑이자 절친한 도화서 동료였다.

박인석(朴寅碩,19세기)~ 조선후기의 화원. 1846년 헌종어진 제작에 참여한 기록이 있다. 김수철, 이한철, 허련, 전기 등과 함께 추사 김정희의 지도를 받았다.

박정규(朴正圭)~ 행초서에 일가를 이룬 서예가,호=연곡(蓮谷).월정 선생 문하에 꾸준히 書力을 가꾼 高弟로 각종 공모전에서 수상.

박정자(朴貞子)→書藝家. 호=봄샘().

박제가(朴齊家,1750~1805)~ 서자 출신의 실학자. 1778년 채제공(蔡濟恭)을 수행해 중국에 가 이조원(李調元), 반정균(潘庭均) 등과 교우하는 등 4번 연행했다. 시와 그림, 글씨가 뛰어 났으며 조선에 처음 대련(對聯) 형식을 도입했다.
박종석(朴鍾錫)- 화가,호남대학 미술학과 및 조선대 대학원 순수미술학과 졸업.호=석주(石洲).

박주열(朴柱烈,)-서예가. 호=초헌(初軒).

박해철(朴海徹,1868~1934)~ 조선말기 문신.서예가.號=창번(滄樊)-

박해춘(192?~ )→서예가. 호=성헌(省軒),
박행보(1935~ )화가. 호=금봉(金峰),

방윤명(方允明,1827-1880)~ 조선말기의 화가.매화와 추사 화풍을 따른 난초를 잘 그렸다.號=노천(老泉)-

배길기(裵吉基,1917~1999)~ 한국근대 서예가(書藝家),동국대학교교수.한국서가협회회장역임.호=시암(時菴,是菴),침우당주인(枕雨堂主人).

배대승(裵大昇)- 서예가,호=하림(霞林).

배재식(裵在植)- 서예가,호=고천(古泉).

배종성(裵鍾成)- 서예가,성균서도회.호=현빈(玄彬).

배 환(裵奐,1833~1894)→문인화가,호=시재(時齋).

백영일()대구의서예가,호=송하().백은배(白殷培,1820~1901)~ 중인 집안인 임천 백씨 출신. 증조부는 역관이었으나 부친 형제 때 화원이 되어 본인을 비롯한 사촌 모두가 화원이다. 1872년에 고종 어진을 제작했으며 임금 앞에서 묵련화를 그린 적이 있다.
변 박(卞璞,1742∼1783)~ 부산 동래부(東萊府) 소속의 화원. 1763년 김유성과 함께 통신사 일행을 따라 일본에 가 일본 풍물 및 지도를 그렸다.
변상벽(卞相璧,1730~1775)~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초상화를 잘 그린 이외에 영모화에 솜씨를 보였다. 특히 고양이 그림에 능해 변 고양이라고 불렸다.

변영문(邊榮文)書藝家.호=시중(時中).




변지순(卞持淳, ? ~ ? )~ 19세기에 활동한 문인 화가. 생몰년은 물론 가계나 교우 관계는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
사임당 신씨( 師姙堂,1504~1551)~ 조선전기의 여성화가. 강릉 문인 신명화(申命和)의 둘째 딸로 태어나 덕수이씨 이원수(李元秀)와 결혼, 율곡 이이를 비롯한 4남3녀를 낳았다. 산수, 영모, 초충, 포도 등을 잘 그렸다. 첫째 딸 매창(梅窓)과 넷째 아들 이우(李瑀)도 그림을 잘 그렸다.
서경요(徐坰遙)~ 서예가,호=청곡(菁谷).

서기식(徐基植)서예가,호=석호(昔湖).


변요인(邊堯寅)서예가, 호=이당(夷堂).

서동균(徐東均,1902~1978)~ 화백.호=죽농(竹農),한국의 서화가.석재-서병오에게 글씨와 그림을 배웠음.

서명응(徐命膺,1716∼1787)~ 문인,서예가.北學派 의 鼻祖로 保晩齋集,保晩齋叢書等의 많은 著書를 남긴 文臣.호=보만재(保晩齋).

서문보(徐文寶,15세기 후반)~ 조선전기의 화원. 화원이었던 강희맹의 추천으로 하급 관직에 나간 기록이 있다.
서병오(徐丙五,1862∼1935)~ 서화가.호=석재.영남출신으로 일찍이 군수를 지냈다.

서재석()- 전각가,호=취산(翠山).

서정성(徐貞成)-계당(桂堂)- 서예가.

서정재(徐禎在)~ 서예가.호=소지(小智).

서홍식書藝家.(한국 서도협회전북 지부장).

석 경(石敬,15세기)~ 조선초중기에 활동한 화가로 안견의 제자. 행적이 불분명하다. 묵죽도와 운룡도를 잘 그렸다.
석도륜(昔度輪,1919~현재)~ 전각서예가,호(號)는 한면자(寒眠子), 한일자(寒逸子)요. 본관(本貫)은 월성(月城)이다. 그는 부산에서 출생.

석용진(石龍鎭)서예가, 호=일사(一思).

석진원(石振源)~ 서예가,號=금헌(琴軒).

선주석(宣柱石)- 서예가.호=무불(無不).

선주선(宣柱善,)~ 서예가,號=마하(摩河). 철농(鐵農)이기우의 제자,

성세창(成世昌,1481~1548)~ 좌의정(左議政),호=돈재(遯齋),學識과 文章이 뛰어나 事大交隣의 많은 外交文書를 썼고, 글씨,그림,音律에 正統하여 三絶이라 불린 文臣.

성주훈(成周勳)- 서예가,성균서도회.호=하백(夏伯),

성진환(成震煥,1896∼1983)漢詩作家, 昌寧 誠齋?錄 호=성재(誠齋).
성 현(成 俔,1439~1504)~ 문인,학자,서거정 이후 사가(四家)의 한사람으로 불리는 한문학의 대가이다.호=허백당(虛白堂).

손경식(孫敬植)書藝家.호=해청(海淸).

손인식(孫仁植)- 서예가.호=인재(仁齋 ).印尼서 활동.

손창락(孫昌洛)- 서예가, 호=효산(曉山),

손태원(孫泰瑗)~ 한글 서예가.호=우치(愚痴).

송경진(宋炅晋)- 서예가,호=사재(思齋).

정동후(鄭東後)→승지(承旨) 정3품.호=송애(松崖).

송명회(宋明會,1872~1953)~  근대 서화가.號=소파(小波).

송민고(宋民古,1592~1664)~ 임진왜란 때 명나라와 교섭을 담당했던 이호민(李好閔)의 사위. 벼슬에 나가지 않고 은둔 생활을 했다. 시서화 삼절로 불렸다.

송상래(宋祥來,1773~1843)~ 조선후기의 문인 화가. 벼슬은 사간원 대사간까지 올랐다. 묵죽을 잘 그렸으며 아들 송주헌(宋柱獻) 역시 대나무를 잘 그렸다.

송 선(宋 瑄,1544∼1629)~ 학자,서예가.호=양지정(養志亭).

송성용(宋成鏞,1913∼1999)~ 한국서예의 독자적 경지를 이룬 호남을 대표하는 서예가이자 유학자이다. 號=강암(剛岩),

송수면(宋修勉,1847~1916)~ 진사에 오른 문인 화가. 진사에 합격했으나 벼슬을 포기하고 화순에 은거했다. 매화, 대나무를 잘 그렸다. 특히 나비를 잘 그려 송나비라는 별명도 들었다.

송신일(宋信一)書藝家.호=관지(寬之).

송용근(宋庸根)서예가, 호=삼여(三如).

송운회(宋運會,1874-1965)조선후기 보성의 대서예가이며 문장가.호=설주(雪舟).

송전석()국전 초대작가, 호=남재(南齋).

송태회(宋泰會;1872~1941)~ 화가이자 서예가.號=염재(念齋).

송하경(宋河璟)~ 서예가,강암(剛庵)-송성용(宋成鏞)의아들,호=우산(友山).

신광현(申光絢,1813~ ? )~ 시, 글씨, 그림이 모두 뛰어났다고 전하지만 자세한 행적은 불분명하다.
신동엽(申東燁)- 서예가,호=가람(伽藍).

신명숙(申明淑)- 호=아성(雅星).

신명연(申命衍,1809~1886)~ 무과에 급제. 조선후기 묵죽화의 대가 신위(申緯)의 둘째 아들. 산수, 화훼, 묵죽을 잘 그렸다. 형 신명준(申命準)도 그림을 능했다.
신명준(申命準 1803~ 1842)~ 자하 신위의 장남으로 문인 화가. 동생 신명연과 더불어 이름이 났으나 40세이 죽었다.
신 씨(申氏,1504~1551)~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대표적인 여류 예술가.율곡의母친.호=사임당(師任堂)-

신 위(申 緯,1769~1845)~ 조선후기의 문신,화가,서예가.시호=경수당(警修堂).

신유섭(申維燮)서예가,성균서도회. 호=중암(衆巖).

신윤복(申潤福,1758~1813)~ 조선후기화가,조선 3대 풍속화가(김홍도,김득신,신윤복).호=혜원(蕙園)-
신 잠(申潛,1491∼1554)~ 신숙주(申叔舟)의 증손자인 문인화가. 아버지는 예조참판 신종호(申從濩)이고 어머니는 세종의 11번째 아들 의창군 이공(義昌君 李?)의 딸이다. 묵죽과 더불어 포도 그림도 잘 그렸다.
신정희(申正熙,1930~2007)~ 한국을 대표하는 도예가.사기장(砂器匠).경남 사천 출생.號=장여(長如).

신한평(申漢枰,1726~1809)~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화원 집안인 고령 신씨. 종조부 신세담(申世潭)과 당숙 신일흥(申日興)이 화원이다. 아들은 유명한 신윤복(申潤福). 초상화와 남종화풍의 산수, 화조화를 잘 그렸다.

신호열(辛鎬烈)~ 서예가,호=우전(雨田),

심사정(沈師正,1707~1769)~ 조선후기의 문인화가.겸재 정선의 제자,號=현재(玄齋).포도 그림을 잘 그린 심정주(沈廷胄)의 아들이며 포도와 인물을 잘 그린 문인화가 정유승(鄭維升)의 외손자이다. 이인상, 강세황과 더불어 조선 후기에 중국 남종화풍을 전한 주역으로 꼽힌다.
심사하(沈師夏,생몰미상)~ 조선후기의 선비화가.號=송계(松溪).영의정 심지원(沈之源)의 증손자로 화가 신사정(申師正)의 육촌형이 된다.화가로서는 특히 산수화에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졌다.

심재영(沈載榮)~ 전통서예가, 호=묵선(墨禪).

심정주(沈廷胄,1678~1750)~ 조선후기의 문인 화가. 영의정을 지낸 심지원의 손자. 중부(仲父)는 효종의 사위인 심익현이다. 장인은 정인지 후손으로 그림을 잘 그린 정유점. 부친 심익창이 과거 부정사건으로 유배된 뒤 다시 세자(영조)시해 사건에 연루돼 죽자 벼슬을 포기하고 그림에 전념했다. 포도를 잘 그렸다. 남종화의 대가 심사정은 아들이다.
문성연(文誠鍊)- 서예가,성균서도회.호=심학(心鶴).

안건영(安健榮,1841~1876)~ 대대로 의관집안 출신의 화원 화가. 산수를 비롯해 인물, 영모, 초충, 어해에 두루 능통했다. 장승업과 함께 조선시대 마지막 화원 명수로 일컫는다.
안 견(安堅,15세기)~ 조선 3대화가 중 한 사람. 세종의 셋째아들 안평대군의 후원 아래 화원 활동을 했다. 조선시대 최고의 명작으로 손꼽히는 명작 를 그렸다.

안광석(安光碩,1917~2004)-  전각서예가, 호(號)는 청사(晴斯)요. 本名은 안병업(安秉業)이며 경남 김해(金海)에서 태어났다.

안규동(安昑,1907~1987)~ 서예가,호=송곡(松谷).보성군 복내면 반석리에서 태어난 송곡은 8세에 사헌 김윤기로부터 학문을 익히기 시작, 13세에 한학자 이낙천의 문하에 입문했다.
안병옥(安秉玉)~ 한국서도협회초대작가, 한국고불서협회 초대작가,한국서가협회,號=기산(箕山).

안병철(安秉喆)→書藝家. 호=청산(靑山).

안종중(安淙重)문인화,서예가.호=시백(時伯).

안중식(安中植,1861~1919)~ 조선말기의 화가. 어린 시절의 생적은 불분명하다. 1881년 중국 영선사의 제도사(製圖士)로 천진에 1년 머물렀다. 이때 알게 된 조석진(趙錫晉)과 평생 교우했다. 서화미술원이 생긴 뒤 조석진과 함께 오일영, 이한복, 김은호 등 근대 전통화단의 주역들을 길러냈다.
양기성(梁箕星, ? ~1755) 숙종, 영조 때 활동한 화원. 영조어진 제작에 박동보, 함세휘 등과 함께 참가했다.
양기훈(楊基薰,1843~1919) 조선말기의 화가. 평양 출신.호=석연(石然),1883년 전권대사 민영익의 수행 화원으로 미국에 다녀왔다. 1908년에는 일본에 건너가 전시회를 열었다. 아들 양영진(楊英鎭)도 화가이다. 화조와 산수, 사군자를 잘 그렸다. 특히 노안도를 많이 남겼다.

양상철(梁相哲)書藝家.호=한천().

양영진(楊英鎭)화가,양기훈의아들,

양진니(楊鎭尼)행초.서예가.호=우죽(友竹).

양택동(梁澤東,1949~ )서예가,한국서예박물관장.호=반촌(半邨),근당(槿堂).삼무재인(三無齋人).삼역루(三亦樓).

양팽손(梁彭孫,1488~1545) 조광조와 함께 생원시에 합격한 문인 화가. 안견의 산수화풍을 계승했다.號=학포(學圃),서화(書畵)로 명성을 얻은 문신이다.남도화가.

어몽룡(魚夢龍,1566~1617)현감을 지낸 문인화가.묵매(墨梅)를 잘 그림. 이정(李霆)-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묵포도(墨葡萄)와 함께 삼절(三絶)로 불림.號=설천(雪川),

엄계응(嚴啓膺)→화가. 호=연석(燕石).

엄수현(嚴秀炫)서예가. 호=인와(璘窩).

엄유섭(嚴裕燮)서예가,성균서도회.호=항산(恒山).

엄치욱(嚴致郁,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조선후기에 활동한 화가. 자세한 행적은 불분명하다. 정선의 영향을 받은 진경산수화를 잘 그렸다.
여동옹(余東翰,1905∼)漢詩作家, 宜寧 月浦詩稿?호=월포(月浦).

여원구(呂元九,1932~양평출생) 예서,서예가.호=구당(丘堂).설곡(雪谷),양소헌(養素軒).

염춘옥(廉春玉)서예가.호=정명(靖明).

오경림(吳慶林,1835∼ ? ) 대대로 역관을 배출한 해주오씨 집안 출신의 역관이자 서화가. 조부 오계순(吳繼淳), 부친(吳鷹賢)이 모두 한역관(漢譯官)이다. 동생 오경윤(吾慶潤), 오경림(吳慶林), 오경연(吳慶然)도 역관이며 서예와 그림에 조예가 있었다. 『근역서화징』을 지은 오세창(吳世昌)은 그의 아들이다. 역관인 이상적(李尙迪)에게 한어와 서화를 배웠다.

오경석(吳慶錫,1831~1879)~ 조선의 역관(譯官),서화가.호=역매(亦梅),진재(鎭齋),천죽재(天竹齋)

오경윤(吳慶潤,1833~1890)~ 오경석(吳慶錫)의 동생. 왜학(倭學) 역관이며 그림을 잘 그렸다.
오규일(吳圭一,연대미상)~ 전각서예가,字는 호시(蒿始)요. 호(號)는 소산(小山)이다.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추사의 전각 제자이다.

오근식(吳根植)- 서예가,성균서도회,호=서천(瑞泉).

오길례(吳吉禮)- 서예가,  호=도옥(陶玉),

오명섭(吳明燮)~ 전남 광주에서 활동하는 중견 서예가.號=일속(一粟)

오세창(吳世昌,1854~1953)~ 전각서예가,자(字)는 중명(仲銘)이요. 호(號)는 위창(葦滄)이며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3.1 독립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인 위창은 추사의 학맥을 이은 역매(亦梅) 오경석(吳慶錫)의 아들로 태어나 언론활동을 하며 우정국통신국장(郵政局通信局長)을 역임했다.

오제봉(吳濟峯,1908~1991)~ 출가하여 승문에 입문한 서예가.號=청남(菁南)-

오태훈(吳泰勳)서예가,성균서도회.호=정곡(鼎谷).

우상하(禹尙夏,19세기 중엽~20세기 초)~ 조선말기에 활동한 서화가. 헌종과 철종 시대에 활동했다. 인물화를 잘 그리고 예서를 잘 썼다.
원명웅(元命雄,1740~1774)~ 명유(命維)라고도 한다. 조선후기의 화가. 자세한 행적은 불분명하다. 중인 출신의 수장가로 이름 높았던 김광국(金光國)과 역관 출신의 여항문인 안호(安祜)와 교류한 기록이 있다.
원성희(元成喜) 서예가,호=건중(建中),

원용식(元容植,1898~1927)~ 중국국전 특선.귀국 후 장흥에서 정착 작품활동.사군자에 일가를 이루었음.號=해주(海州)-

원중식(元仲植,1941~2013)~ 목간 예서,서예가.호=남전(南田).

원지현(元智鉉)- 서예가,호=도향(稻香),

위성민(魏聖玟) 서예가. 호=원당(源堂),

유덕장(柳德章,1675∼1756)~ 조선후기의 문인화가. 이정(李霆), 신위(申緯)와 함께 조선 3대 묵죽화가로 꼽힌다. 묵죽화를 잘 그린 것을 전하는 6대조 유진동(柳辰仝)과 종조부 유혁연(柳赫然)의 영향이 큰 것으로 여겨진다.
유성업(柳成業,16세기 말~17세기 전반)~ 조선중기의 화원 화가. 아버지 유징(柳澄)과 매부인 이정근(李廷根) 역시 화원이었다. 1617년 통신사 정사인 오윤겸(吳允謙)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유숙(劉淑,1827~1873)~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조부와 부친은 모두 무관이었다. 1852년과 1861년에 각각 철종어진과 고종어진의 제작에 참여했다. 중인 시사인 벽오사(碧梧社)에 참가해 조희룡, 이기복, 전기, 유재소 등과 교유했다. 산수, 인물, 화조, 영모, 사군자에 두루 능했다.

유승의(柳承宜)- 안성에 세거하는 서예가, 호=심향(心鄕).

유영란(劉英蘭)- 서예가,성균서도회.호=취정(翠汀).

유영자(兪英子,)~ 강릉에서 활동 하는 서예가.號=한초(旱草).

유운홍(劉運弘,1797~1859)~ 호=시산(詩山).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로 김홍도의 영향이 많이 받았다.
유자미(柳自湄, ? ~1462)~ 조선초기의 문인 화가. 세조찬탈 이후 은거하며 성삼문의 딸을 데려다 길러 며느리로 삼았다. 그림과 글씨에 능하지만 유작은 단 한 점만 전한다.

유재소(劉在韶,1829∼1911)~ 조선말기의 화가.벼슬은 판관을 지냈다.김정희(金正喜)에게 사사하고,號=학석(鶴石),형당(蘅堂).무관으로 활약했지만 행적은 불분명하다. 화가로서 김수철(金秀哲), 허유(許維), 이한철(李漢喆), 유숙(劉淑), 조중묵(趙重?) 등과 함께 김정희의 가르침을 받았다.

유한익(劉漢翼,1844~1923)- 전각서예가,호(號)는 해관(海觀)이요. 본관은 평해(平海)이다. <근역서화징>에 이르기를 “해서(楷書)에 능했고 금석문(金石文)을 많이 썼다”라고 하였다. 근대 5대가의 한 사람으로 그의 아우 우관(愚觀) 유한춘(劉漢春)(1848~?)이다.

유한춘(劉漢春,1848~?)~ 전각서예가,해관(海觀)유한익(劉漢翼)의아우.호=우관(愚觀).

유훈조(兪勛朝)- 서예가,호=행리(杏里).

유희강(柳熙綱,1911~1976)~ 서예가,전각가.號=시계외사(柴溪外史)/소완재주인(蘇阮齋主人)/검여(劍如).

윤관석(尹寬錫)서예가. 호=송계(松溪).

윤덕희(尹德熙,1685~1766)~ 락서(駱西),연포(),연옹()- (공재윤두서 子).조선 후기의 문인 화가. 윤선도(尹善道)의 현손이자 윤두서(尹斗緖)의 9남3녀 중 장남이다. 역시 그림을 잘 그린 윤용(尹?)의 아버지이다. 18세기 대표적인 시인 신광수(申光洙)는 매제이다.
윤두서(尹斗緖,1668~1715)~ 조선후기의 문인화가. 윤선도(尹善道)의 증손으로 장남 윤덕희(尹德熙)와 손자 윤용(尹溶)도 그림을 잘 그려 화업 3대를 이루었다. 겸재 정선, 현재 심사정과 더불어 조선후기 삼재(三齋)라 불렸다. 말과 인물화를 잘 그렸다.

윤병일(尹炳日)서예가,성균서도회.호=시성(時省).

윤정구(尹定求,1841~ ? )~ 문인,서예가,號=하운(下雲)-
윤삼산(尹三山)~ 書畵家,호=수공(壽翁),

윤선도(尹善道,1587~1671)~ 고산(孤山),해옹(海翁)- 조선시대 문인 화가,

윤 순(尹 淳,1680-1741)- 서예가.호=백하(白下).號=학음(鶴陰).만옹(漫翁).

윤신지(尹新之,1582~1657)~ 조선중기의 문인이자 화가. 선조의 딸 정혜옹주와 결혼해 해숭위(海崇尉)에 봉해졌다. 특히 선조의 사랑을 받았다. 글씨와 그림에 능했다.
윤양희(尹亮熙,1942~현재)전각가,호(號)는 모암(茅菴), 눌뫼 등이며 충남 청양에서 출생하였다.철농(鐵農)이기우의 제자,

윤 용(尹 溶,1708~1771)사인의 화가,號=청고(靑皐),유헌(),윤두서의 손자이자 윤덕희의 둘째아들. 그림을 잘 그렸으나 33살로 요절했다. 산수화는 남종화풍이며 풍속화는 조부의 영향을 받았다.
윤용구(尹用求,1853∼1937)구한말 명서가,예,이조판서,호=석촌(石村,石邨),수간(睡幹).해관(海觀),장위산인(獐位山人).

윤의립(尹毅立,1568∼1643)조선중기의 문인 화가. 그림을 잘 그린 윤정립(尹貞立)의 형이다. 예조 판서와 의정부 좌참찬에 올랐으며 그림에는 안견파와 남송의 마하파 요소가 보인다.
윤인걸(尹仁傑,16세기)가계나 행적이 불분명하다. 함윤덕(咸允德)의 화풍을 따랐다는 윤두서의 기록이 전한다.
윤인함(尹仁涵)書畵家, 호=인재(竹齊).

윤점용(尹點鏞)→書藝家.호=호암(浩庵).

윤정립(尹貞立,1571∼1627)문인화가,중년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일가를 이루었다. 전하는 작품이 매우 적다.호=학산(鶴山).공조판서를 지낸 선각(先覺)의 아들이며, 선비화가 의립(毅立)의 동생으로 1605년 진사시에 합격, 천거로 의금부도사를 거쳐 군수에 이르렀다.
윤제홍(尹濟弘,1764~1840)영조,정조시대의 문인 화가. 곤궁한 집안 출신이지만 청백리와 효자가 많은 것을 자부했다. 정선, 심사정, 이인상의 영향을 받았으며 지두화에 능했다.

윤종득(尹鍾得)서예가, 호=산하(山下).

윤진숙(尹珍淑)- 서예가,성균서도회.호=하림(荷林).

윤택원(尹澤遠)서예가,성균서도회.호=송하(松下).

이가원(李家源)- 성균서도회 특강강사(1975),우리나라 한문학계의 태두,호=연민(淵民).

이건창(李建昌,1852~1898)~ 조선말기의 문신·학자,대문장가.漢詩作家, 全州 黨議通略 明美堂集,보성으로 유배.호=영재(寧齋).

이경성(1919~ )→화가, 석남미술문화재단(1989). 호=석남(石南),

이경용(李景容,1580∼1635)~ 조선중기의 문신.문인,서예가,호=두곡(杜谷).
이경윤(李慶胤,1545~1611)~ 조선중기의 왕족 화가. 성종의 8째 아들인 익양군 이회의 종증손이다. 왕자군의 증손에게 내리는 학림수(鶴林守)를 제수받았고 나중에 학림정(鶴林正)에 봉해졌다. 동생 이영윤(李英胤)과 두 아들인 이숙(李潚)과 이위국(李緯國) 그리고 서자인 이징(李澄)도 모두 그림과 글씨에 뛰어났다.
이계호(李繼祜,1574~1645)~ 조선중기의 문인화가. 포도 그림을 잘 그렸다. 이조판서 홍식(洪湜)에게 그림을 배운 것으로 전한다.

이 곤(李坤)書藝家.호=오헌(梧軒).

이곤순(李坤淳)예서 서예가. 호=장암(長巖),

이공우(李公愚,1805~1877)~ 조선후기의 문인 화가. 16세기 문장가로 유명한 이정구(李廷龜)의 후손이다. 김정희, 권돈인과 함께 선사에 놀러가 매화를 그린 기록이 전한다.
이광사(李匡師,1705~1777)~ 영조때의 문인 서화가.양명학자,서예가.호=수북(壽北).원교(圓嶠). 대대로 판서 이상을 지낸 명문집안 출신.『원교서결(圓嶠書訣)』등 서예사의 이론체계 구축에 큰 기여를 했다. 그림도 잘 그렸다. 두 아들 이긍익(李肯翊), 이영익(李令翊)은 문학 외에 글씨를 잘 썼다.

이광범(1941∼1993·)- 서예가.호=오천(午川).
이광열(李光烈,1885~1966)~ 전각서예가, 號=효산(曉山).

이교익(李敎翼,1807~ ? )~ 조선후기에 활동한 화가.산수와 나비 그림을 잘 그렸다.김홍도의 화풍을 따랐으며 조정규 등과 함께 그림을 배웠다.

이권일(李權一)書藝家. 호=서호(西湖).

이규형(李圭珩)서예가.호=송파(松坡).

이근우(1877~1934)서예가. =경농(鏡農),

이 급(李伋,1623∼? )~ 중종의 넷째아들 영양군 이거의 증손으로 왕족화가. 대나무 그림을 잘 그렸다.
이기광(李起光)- 서예가,성균서도회,호=운천(雲川).

이기룡(李起龍,1600~ ?  )~ 대대로 화원집안 출신으로 이홍규(李泓?)의 아들이다. 1643년 통신사 윤순지(尹順之)를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이기우(李基雨,1921~1993)~ 화가.근대 전각(篆刻) 분야에서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세운 예술가로,號=철농(鐵農),‘한국전각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이남호(李南鎬)~ 한국화가,號=금추(錦秋).

이도영(李道榮,1884∼1933)-서화가.서울 출신.안중식,조석진의 문인,호=관재(貫齋).글씨는 예서·행서에 능했고, 그림은 특히 산수·인물·화조·절지·기명 등에 뛰어났다. 1918년 조석진·안중식·김응원·오세창 등과 함께 서화협회를 조직, 조선 미술전람회의 동양화부 심사위원을 지냈다.·


이돈흥(李敦興,1942~ )~ 광주의서예가,號=학정(鶴亭).

이동익(李東益)정통서예가. 호=유천(攸川).

이명기(李命基.1756~1813)~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부친 이종수(李宗秀), 동생 이명규(李命奎), 매제 허용(許容)도 모두 화원이다. 처가 역시 화원 집안으로 장인은 김응환(金應換)이다. 산수 이외에 특히 초상화를 잘 그려 이름을 날렸다.
이명욱(李明郁,17세기)~ 조선중기의 화원 화가. 화원 한시각(韓時覺)의 사위. 산수, 인물을 잘 그려 이징(李澄) 이후 최고라는 찬사는 들었으나 요절했다. 유작으로 한 점만 전한다.

이명화()→書藝家.(한국 서예진흥협회 초대작가). 호=매헌().
이방운(李昉運,1761∼1815)~ 조선후기 양반 출신의 직업 화가. 문인 남공철(南公轍)을 비롯해 서얼 출신의 문사 성대중(成大仲) 등과 교유했으며 거문고를 잘 탔다.

이병천(李丙天)- 書藝家.호=우강(牛崗).

이불해(李不害,1529~ ? )~ 조선중기의 화원. 가계와 행적은 불분명하다. 1559년 소수서원의 안향(安珦) 초상을 모사한 기록이 있다.

이삼만(李三晩,1770∼1847)~ 조선 후기의 서예가.號=창암(蒼巖).
이상문(李相文)~ 서예가.號=한얼().
이상범(李象範,1897~1972)~ 화가,예술인.號=청전(靑田).한국 산수화의 대가.

이상적(李尙迪,1804~1865)~ 전각서예가,자(字)는 혜길(惠吉)이요. 호(號)는 우선(藕船)이며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벼슬은 온양군수(溫陽郡守)를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이상좌(李上佐,1465 ~ ? )~ 조선전기의 화원. 노비 출신이나 그림 실력이 뛰어나 중종의 특명으로 화원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배련(李陪連)과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 아들 이흥효(李興孝)도 화원이었다. 1545년 중종 어진을 이암, 석경과 함께 그렸다.
이 서(李 抒)~ 호=옥동(玉洞)-

이 서(李 漵,1662-1723)~ 서예가.'동국진체'를 창안한 서예의 대가였다.호=옥동(玉洞),옥금산인(玉琴散人)-

이석표(李石杓)書藝家.호=한솔().

이선경(李線敬)- 서예가.호=고봉(古峯).

이성길(李成吉,1562 ~1621)~ 조선중기 병조참판까지 오른 문인 화가. 그림에 뛰어나 진중에서도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2차에 걸쳐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한 점이 전한다. 호=창주(滄洲).1617년 분조(分朝)의 병조 참의가 됨.
이성린(李聖麟,1718~1777)~ 영조시대의 화원 화가. 사자관 이동빈(李東彬)의 손자이며 화원 함제건(咸悌健)의 외종손이다. 1747년에 최북과 함께 통신사의 수행화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이수민(李壽民,1783~1839)~ 순조,헌종 때의 화원. 이성린(李聖麟)의 손자로 할아버지를 비롯해 아버지 이종현(李宗賢), 삼촌 이종근(李宗根)이 모두 화원이다. 이종근에게 양자로 출계했다.

 

이수원(李壽源,1909∼1995)漢詩作家, 古阜 信齋集? 호=신재(信齋).


이수진(李秀眞)- 서예가,호=우헌(又軒).

이수형(李帥珩)- 서예가,호=혜석(惠石).

이순재(李舜載,1869-1943)~ 근대 서화가. 號=성산(惺山).

이숭호(李崇浩)~ 전각가,전서-서예가,회정의 문하(門下).호=사곡(砂曲).

이숭효(李崇孝 16세기)~

이시눌(李時訥 18세기 후반 ~ 19세기 초)~ 조선후기, 부산 일대에서 활동한 무관이자 화가.
이신흠(李信欽,1570~1631) 조선중기의 화원 화가. 화원 이희량(李希良)의 아들로 초상화를 잘 그렸다. 1595년 조선에 온 명나라 사신 심유정 일행의 초상화를 그린 것으로 전한다.

이 암(李巖,1507~1566) 조선초기의 왕족 화가. 세종의 셋째아들 임영(臨瀛)대군의 증손자로 정5품 두성령(杜城令)에 제수됐다. 동물을 그린 영모화와 초상화에 뛰어났다. 일본에서는 간잔 세이추(完山靜仲)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이연재(李連載,) 화백.호=송원(松原).

이열모(李列模,1933~ 忠北 報恩生) 화백,호=철수(哲洙).

이영윤(李英胤1561~1611)조선중기의 왕족 화가. 청성군 이걸(靑城君 李傑)의 아들로 이경윤(李慶胤)의 동생이다. 죽림수(竹林守)를 제수받았다. 영모화, 화조화를 잘 그렸으며 특히 말 그림에 재능이 있었다,

이 요(李㴭,1622∼1658 )조선후기의 왕족 화가.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 인평(麟坪)대군에 봉해졌다. 병자호란 이후 심양에 끌려간 뒤 돌아오며 교류가 있었던 중국화가 맹영광(孟永光)의 그림을 2점 가져왔다.

이 용(李 鏞)書藝家.호=산민(山民).

이 용(李 瑢,1418~1453)안평대군(安平大君).세종의 셋째 아들.서예와 시문(詩文),그림,가야금 등에 능함.시호=매죽헌(梅竹軒).

이용림(李用霖,1839~ ? ) 조선후기의 중인 화가. 김정희 제자인 역관 이상적(李尙迪)의 아들. 아버지를 통해 중국 청대 말기의 문인화풍을 익혔다.

이용휴(李用休,1708~1782) 이익의 조카이자 이가환(李家煥)의 아버지이다.삼절(三絶).號=혜환(惠?).

이 우(李 瑀,1542∼1609) 신사임당의 4男,벼슬은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냈다.거문고,시(詩),서(書),화(畫)에 능해 사절(四絶)이라 불리었다.벼슬은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냈다.號=옥산(玉山).

이유신(李維新,생몰미상) 조선후기에 활동한 여항 문인이자 화가. 생몰년과 행적은 불분명하다. 나이 어린 신위와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이유표(李裕杓)서예가,성균서도회.호=우정(愚鼎).

이윤영(李胤永,1714~1759)조선후기의 문인 화가. 금강산, 지리산을 여행했으며 특히 단양을 좋아해 단릉 산인이라 호를 썼다. 문인 화가 이인상은 절친한 친구이다.

이은정(李垠政)서예가, 호=은곡(垠谷).

이은혁(李銀赫)서예가, 호=임지당(臨池堂).

이의양(李義養,1768~1824)~ 역관집안 출신의 조선후기 화원화가. 백부 이학원(李學源)과 부친 이학수(李學洙)는 역관이지만 아들 이한철(李漢喆)은 그를 따라 화원이 되었다. 1811년에 통신사의 수행 화원이 돼 대마도를 다녀왔다, 현존작품 중 상당수가 대마도 방문 때의 그림이다.

이인문(李寅文,1745~1824)~ 역관, 산관, 율관 등을 지낸 중인집안 출신의 화원 화가. 이인문 대에 화원이 돼 아들 이최식(李㝡植)과 이방식(李邦植)도 화원이다. 이후 형 이인휘와 그의 아들 이광식도 화원이 됐다.

 

이인상(李麟祥,1710-1760)~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문인,화가인 이인상은 조선의 4대 명문가에 속하는 백강 이경여 가문의 후손으로,담백하고 격조있는 문인화를 그린 인물이다.서출이지만 시문과 학식이 뛰어났다. 글씨는 안진경체를 따랐고 그림은 독학으로 익혔다. 화풍은 이윤영(李胤永)을 비롯해 후대의 윤제홍(尹濟弘) 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號-능호(凌壺).

이장환(李長煥)~ 문인화의 서예가, 호=별밭,

이재관(李在寬,1783~1849)~ 몰락한 무반집안 출신으로 직업 화가. 조희룡(趙熙龍)과 평생 두터운 교분을 나누었다. 김정희, 강이오(姜彛五), 강진(姜溍) 그리고 신위의 아들 신명준(申命準)과도 교유하였다. 또 김양기(金良驥), 장준량(張駿良), 이한철(李漢喆), 김하종(金夏鍾), 조정규(趙廷奎) 등 당시의 대표적인 화원들과 사귀었다.

이 정(李楨,1578∼1607)~ 조선중기의 화원 화가. 부친 이숭효(李崇孝)와 이흥효(李興孝)도 모두 화원이다. 조부에 대해 이상좌(李上佐) 또는 이배련(李陪連)이란 엇갈린 기록이 있다. 13살때 금강산 장안사를 개축할 때 산수화와 천왕상을 그렸다.

이 정(李霆,1554~1626)~ 조선중기의 문인 화가. 유덕장(柳德章), 신위(申緯)와 함께 조선 3대 묵죽화가로 꼽힌다. 세종의 현손으로 익주군 이지(益州君 彛枝)의 아들이다. 석양정(石陽正)에 봉진 뒤 나중에 석양군(石陽君)으로 승격됐다. 임진왜란 때 적의 칼에 오른팔을 크게 다쳤다.

이 정(李 霆,1541~1622)~ 조선중종 때의 화가.삼절(三絶)의 일인,號=탄은(灘隱),나와(懶窩),나재(懶齋),나옹(懶翁),설악(雪嶽),

이정근(李正根,1531∼ ? )~ 조선 중기의 대표적 화원 집안인 경주이씨 출신. 화원 이명수(李明修)의 아들이며 형제 이정식(李正植)과 매부 유성업(柳成業)도 화원이다. 아들 이수형과 손자 이홍규, 증손자인 이기룡도 모두 화원이 됐다.

이정직(李定稷)~ 서예가,號=석정(石亭), 성리학자이자 명필로 알려짐.

이정택(李正宅)~ 현대서풍의 서예가,호=청봉(淸툻),

이조묵(李祖默,1792~1840)~ 조선후기의 문인이자 서화가. 소론계의 명문집안 출신이지만 관직에 나아기지 않았다. 윤제홍(尹濟弘), 김정희, 홍현주(洪顯周) 등과 교우했다. 조선 제일이라고 일컬을 만큼 방대한 골동 서화를 수장했다.

이종득(李鍾得)→동양화가, 호=국재(菊齋),
이종복(李宗馥)~ 전각서예가,철농(鐵農)이기우의 제자, 호=심설당(尋雪堂).

이종선(李鐘宣)書藝家.호=한얼(水乙).

이종훈(李鍾勳)書藝家.호=수중(守中).

이주형(李周炯)書藝家.호=송민(松民).

이지연(李知姸)書藝家.경기대학교 전통예술대학원 대우교수 역임.

이 징(李澄,1581~1653)~ 조선중기에 활동한 화원. 왕족화가 이경윤(李慶胤)의 서자이다. 허균과의 교류 이외에 조선에 온 중국화가 맹영광(孟永光), 선조의 부마 신익성(申翊聖), 화가 이정(李楨)과도 교유했다.

이태익(李泰益,1903~1975)~ 전각서예가,호(號)는 기원(畸園)이요,

이필성(李必成,18세기)~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1759년부터 1773년까지 4번에 걸쳐 사신을 수행해 북경을 다녀왔다.

이하곤(李夏坤,1677~1724)~ 조선중후기의 문인이자 서화 비평가. 김창업(金昌業)의 제자. 시인 이병연(李秉淵), 문장가 윤순(尹淳), 화가 윤두서(尹斗緖), 정선(鄭敾) 등과 교유했다. 당시 1만권에 이르는 장서로 유명했다.

이하응(李昰應,1820~1898)- 조선왕족,(대원군).서예가.號=석파(石城),조선 26대 고종의 생부로 정치가이자 서화가. 특히 예서와 묵난도에 능했다. 묵난도는 김정희를 사사했다.

이학규(李學逵,1770-1834)~ 조선후기의 문인.이학규는 태어나자마자 아버지를 잃고 외가에서 외할아버지 이용휴에게 교육을 받았다.

이한복(李漢福)~ 전각서예가,호=무호(無號).

이한순(李漢順)~ 한글서예가.號=아람().퇴계이황 업적과 묘소이야기."  

이한철(李漢喆,1812-1893)~ 조선후기에 활동한 화원 화가. 조부는 역관 이학수(李學洙)이며 부친은 화원이었던 이의양(李義養)이다. 조희룡, 허련, 전기, 유숙, 유재소, 김수철, 박인석, 조중묵, 방윤명 등 많은 화가와 교유했다. 산수는 김홍도의 화풍을 따랐으며 특히 초상화를 잘 그려 많은 작품이 남아 있다.

이현대(李鉉大,1884∼1963)章汝  漢詩作家, 載寧 ?齋遺集. 호=이재(?齋).

이현정(李鉉正,1920∼1991)漢詩作家, 載寧 檜原寓錄.호=수헌(修軒),무웅(武雄).

이현종(李賢鐘) 書藝家.호=의당(懿堂).한국미술협회 서예분과위원과 이사.
이형록(李亨祿,1808~1863)~ 조선후기 화원집안 출신의 화원 화가. 고조부 이성린(李聖麟), 조부 이종현(李宗賢), 부친 이윤민(李潤民), 숙부 이수민(李壽民)은 모두 화원이다. 풍속화, 인물에 뛰어났다. 특히 조선 말기의 책가도를 그린 화가로 유명하다.

이혜정(李慧貞)- 서예가,성균서도회.호는해원(海園),

이호영(李浩影)- 書藝家.호=현초().

이화자(李和子)한글서예가. 호=임천(林泉).

이 황(李 滉,1502~1571)~ 조선중기의 문신,학자,교육자,화가,시인이다.號=퇴계(退溪).조선 최고의 성리학자.

이흥효(李興孝,1537~1593)~ 조선중기의 화원 화가. 화원 이상좌(李上佐, 일명 李陪連)의 아들이다. 형 이숭효(李崇孝)가 일찍 죽자 조카인 이정(李楨)을 맡아 기르며 화가로 키웠다.

이희영(李喜英, ? ~ 1801)~ 조선후기의 문인 화가. 정약용의 맏형 정약종(丁若鍾)의 사위. 정철조(鄭喆祚)에게 그림을 배웠다. 청나라신부 주문모(周文謨)에게 서학을 배웠고 예수의 초상을 황사영(黃嗣永)에게 그려 보낸 일로 신유박해 때 처형됐다.

인영선(印永宣,1947∼ ) 천안의서예가,제4회 일중서예 대상수상자.호=취묵헌(醉墨軒).

임경한(林景翰,생몰년 미상)조선후기 서예가,號=향천(香泉)-

임기옥(林基玉)화백, 호=남재(南齋).

임득명(林得明,1767~1822)조선후기의 여항문인 집안 출신의 화가. 옥계시사(玉溪詩社)의 구성원으로 활동했다. 화가 김영면(金永冕)과 특히 가깝게 교우했다.

임성균(任成均)서예가,성균서도회.호=심정(心汀).

임재우(林栽右,1947~)서예가,호(號)=석헌(石軒). 충남공주출생,소심재(素心齋)-임형수(林亨洙)의 아들,석봉(石蜂)-고봉주(高鳳柱)의제자,

임창순(任昌淳,1914∼1999)한학자,금석학자,서예가.역사학자.1979년 보관문화훈장을 받음.號=청명(靑溟).

임현기(林炫圻)서예가.호=성곡(惺谷).

임 형(林 亨,)~ 서예작가.號=한솔(翰率).

임형수(林亨洙) 서예가,석헌(石軒)임재우의부친(父親).호=소심재(素心齋).

임희지(林熙之,1765~ ? ) 조선후기의 중인 문인이자 서화가.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 일명 옥계(玉溪)시사)의 동인.천수경(千壽慶), 장혼(張混), 박윤묵(朴允默), 임득명(林得明) 등과 교유했다. 대나무와 난초를 잘 그렸다. 대나무 그림은 강세황과 이름을 나란히 할 정도로 유명했다.

장득만(張得萬,1684~1764) 조선후기의 대표적 화원 가문인 인동장씨 출신. 화원 장자욱(張子旭)의 아들이며 화원 장자성(張子晟)의 조카, 화원 허석(許晳)의 사위이다. 동생 장덕만(張德萬)도 화원이다. 초상화를 잘 그렸다.

장미정(張美貞)- 서예가,성균서도회.호=심와(心窩).

장민환()~ 號=길산(佶山)

장 발(張勃,1901~2001) 한국의 서양화가,




장세훈(張世勳)書藝家. 호=외현(外玄).

장승업(張承業,1843~1897)감찰을지냄,호=오원(吾園).조선시대 3대화가(또는 4대화가)중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조선시대 말기의 화가. 출생을 비롯한 행적이 불분명하다. 김정희의 제자 이상적의 사위인 역관 이응헌(李應憲)과 한성 판윤을 지낸 역관 출신의 변원규(卞元圭)의 후원을 받았다. 30대 중반에 도화서에 들어가 유숙, 백은배 등과 교유했다.

장시흥(張始興,1714~1789)~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정선의 산수화를 따라 배웠다.

장연식(張連植)서예가. 호=유산(猶山).

장윤선(張閏善)서예가,호=오리(午里).



장성연(張城燕)書藝家.호=예광(禮廣).

장주현(張珠賢)~ 서예가,호=석계(石溪).

장한종(張漢宗,1768~1815)~ 조선후기의 대표적 화원집안인 인동장씨 출신. 증조부 장득만(張得萬), 증종조부 장계만(張繼萬)과 장덕만(張德萬), 종조부 장경주(張敬周)와 장상주(張祥周) 그리고 부친 장륜(張綸)도 모두 화원이다. 아들 장준량(張駿良)은 개성김씨 화원 가문의 김응환(金應煥)의 딸과 결혼했고 아들 장동혁(張東赫)도 화원이었다. 어해도의 제일인자로 손꼽혔다.

장혜자(張惠子)서예가, 호=잣솔().

전 기(田琦,1825~1854)~ 조선후기에 활동한 서화가. 구체적인 행적은 불분명하다. 약국을 경영했다는 기록이 있다. 벽오사(碧梧社) 시사의 동인. 유최진(柳最鎭)과 유학영(柳學永) 부자, 조희룡, 이기복(李基福), 나기(羅岐), 나수연(羅壽淵) 등의 후원을 받았다. 산수, 사군자, 화훼, 인물, 괴석을 잘 그렸다.  

전도진(田道縝,1948년평북철산출생)~ 전서,전각이 뛰어난 서예가,號=청람(靑藍).석봉(石蜂)-고봉주(高鳳柱)의제자,

전명옥(湛軒 全明玉)→書藝家. 호=담헌().

전상모(全相摹)- 書藝家. 호=하정(河丁).

전익희(全益禧,1598∼1659)선산부사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청덕비(淸德碑)가 세워졌다. 서예에도 뛰어났다.호=설월당(雪月堂).

전정우(全正雨)→書藝家.호=심은(沁隱).

전종구(全鍾九)~ 현대서의 서예가,號=토의(土衣).

전진원(全瑨元)~ 문인화가이자 서예가.호=토민(土民).

전창환(田昌煥)- 書藝家. 호=곶비().

전충효(全忠孝,17세기)~ 조선중기에 활동한 직업화가. 주로 호남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산수, 화조, 영모에 두루 능했다.

정기호(鄭基浩,1899~1989)~ 전각가,호=석불(石佛).경남 창원에서 출생,

정대유(丁大有,1852~1927)~ 조선말기와 근대의 서화가.서예가. 괴석과 묵난, 묵죽으로 유명한 정학교(丁學敎)의 아들이다. 서화미술강습소에서 조석진, 안중식과 함께 교수진으로 글씨와 문인화를 가르쳤다.

정도준(鄭道準)~ 유럽의 서예가,호=소헌(紹軒).

정문경(鄭文卿,1922~2008)~ 충남 청양(靑陽)출신,호=양정(襄亭).몽백(夢白), 한국의 전각가, 전각, 인장.

문장(鄭文丈,1943~ )~ 한글 예서 서예가,호=죽헌(竹軒).

정병례(鄭昺例,1947~)~ 호(號)는 고암(古岩)이며 전남 나주에서 출생하였다.회정의 문하(門下).

정병은(鄭炳銀)- 서예가,호=운천(雲泉).

정보인(鄭普仁)~ 행초의서예가,號=허주(虛舟).

정봉애(鄭鳳愛)- 서예가, 호=취송(翠松).

정상옥(鄭祥玉)→書藝家.호=현암(玄庵).

정 선(鄭 敾,1676∼1759)~ 호=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진경산수 화가.조선의 4대 화가.(김홍도,안견,정선,장승업).조선후기의 문인화가. 겸재풍 진경산수화를 창안해 대대적인 유행을 불러 일으켰다. 유학자 정시익(鄭時翊)과 진사 박자진(朴自振)의 딸 밀양박씨의 장남. 산수화 이외에 초충, 화훼에도 뛰어난 기량을 보였다.정성봉(鄭成奉)~ 화백.號=단헌(旦軒),

정수영(鄭遂榮,1743~ 1831)~ 조선후기의 문인화가. 정인지의 12대 후손이자 조선후기의 지리학자 정상기(鄭尙驥)의 증손자이다. 대대로 이익(李瀷) 집안과 강세황(姜世晃) 집안 등 남인과 북인계열 인사들과 교유했다. 산수화, 화조화, 어해도를 두루 잘 그렸다. 소나무 그림도 잘 그린 것으로 전한다.

정순관(鄭淳官)서예가.지재 부친, 호=일신(日新).

정약용(丁若鏞,176~ 1836)~ 조선후기의 실학자. 진주목사 정재원(丁載遠)의 아들로 모친은 윤두서(尹斗緖)의 손녀이다. 매부 이승훈(李承薰)에게 이익의 학문을 접했고 맏형 정약현(丁若鉉)의 처남인 이벽(李蘗)에게 서학을 배웠다. 감식안이 매우 높았고 직접 그림도 그렸다.

정양화(鄭良和)→書藝家. 호=범여(凡與).





정우빈()~ 서예가,號=파강(巴江).

정우현(鄭宇鉉)서예가,號=동산(東山),

정웅표(鄭雄杓)~ 행초,서예가,號=죽림(竹林).

정유승(鄭維升, ? ~ 1738)~ 조선후기의 문인 화가. 정경흠(鄭慶欽)의 넷째 아들로 형 정유복(鄭維復), 정유겸, 정유점(鄭維漸)도 모두 그림을 잘 그렸다. 셋째형 정유점의 사위는 포도 그림으로 유명한 심정주(沈廷冑)이며 심정주의 아들이 심사정이다. 인물화를 잘 그렸다고 하지만 전하지 않는다.

정인보(鄭寅普(1893∼? )漢詩作家, 東萊 ?園文錄 陽明學縯論 호=위당(爲堂).

정재흥(鄭載興)- 서예가,호=송석(松石),일제시대에 태어나 가학으로 한학과 서예를 백종조부로부터 자연스레 익혔다.

정제도(鄭濟道)書藝家.호=함산(咸山).

정종숙書藝家.(한겨레신문사 교육문화센터 서예강사).

정종여(鄭鍾汝,1914~1984)~ 한국화가,6·25전쟁 중 공산치하의 서울에서 조선미술동맹 회원으로 활약,월북.평양미술학교 조선화 강좌장, 미술가동맹 부위원장을 지내는 등, 조선화의 대가로서 우대받았다.號=청계(靑谿).

정주상(鄭周相)초서,서예가. 호=월정(月汀).

정창모(1931년전주출생)- 화가,완산초등학교 에 다닐 때부터 그림에 두각을 나타냄.6,25전쟁때 인민의용군에 입대해 월북.호=효원(曉園),

정 철(鄭 澈,1536~1593)~ 조선전기의 문신·문인.호=송강(松江),

정충엽(鄭忠燁,1725~1800)~ 조선후기의 중인 화가. 의관 출신으로 정선의 화풍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강세황과 친했다는 기록이 있다.

정충락(鄭充洛,1944~ )~ 서예가,호=농산(農山).회정의 문하(門下).

정치환(1942~ )→화가. 호=현송(玄松),

정탁영(1958~ )→동양화가. 호=백계(白溪),

정태희(鄭台喜)예서,행초의 서예가,호=송암(松巖).

정하건(鄭夏建)- 육조 해서의서예가,한국서예가협회 회장,호송천(松泉).

정학교(丁學敎,1832∼1914)~ 朝鮮時代末의 서화가(書畫家).몽인(夢人),향수(香 壽),몽중몽인(夢中夢人),달리 鶴喬 또는 寉喬라고도 쓴다. 서예가 정대유(丁大有)의 아들이며 동생 정학수(丁鶴洙)도 사군자와 서예에 능했다. 민영익, 이하응, 윤용구 등과 교유했다. 대나무, 난초, 괴석을 잘 그렸다
정현복(鄭鉉輻,1905-1973)경남 진주 에서 활동한 서예가.號=유당(惟堂).

정혜영(鄭惠英)→書藝家.호=지당().

정홍래(鄭弘來,1720~ ? )~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1745년 장득만(張得萬),장경주(張敬周)부자,조창희(趙昌禧)와 더불어 을 제작했다.

정 황(鄭榥,1735∼1800)~ 정선(鄭敾)의 손자. 행적이 불분명하다. 산수화는 조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정환섭(1926~ )→서예가,호=학남(鶴南).

정훈모(謨,독립운동가.서예가,1980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 었다.號=추산(秋山).

정희채(鄭熙彩)행서.서예가.호=설봉(雪峰).

조건철(趙健喆,)서예가. 호=도곡(滔谷).





정영하(鄭永夏)~ 서예작가.호=운촌(雲村).

조규봉(曺圭奉, 인천 태생으로 동경미술학교 출신의 조각가)-
조기동(曺基銅)~ 서예가,호=용곡(龍谷),국립현대미술관 초대작가,

조기석(趙沂錫,1876-1935)- 서예가.號=심농(心農).

조동래()~ 한글서예가,호=참얼().

조문규(曺文圭)강릉거주 서예가.호=소암(小巖).

조방원(1926~ )→한국화가.호=아산(雅山),

조병헌(1876~1937)→서예가,이당(彛堂).

조병호(1914~2005)→서예가. 호=정향(靜香),

조석진(趙錫晋,1853~1920)조선말 근대기의 화가로 조정규(趙廷奎)의 손자. 작은 임전이란 호는 조부의 호(琳田)에서 따왔다. 40대 중반에 어진 화사로 이름을 떨쳤다. 근대화가 변관식(卞寬植)은 맏딸 조정숙의 둘째 아들이다.

조성주(趙盛周,1951~ )서예가,호=국당(菊堂).

조세걸(曺世傑,1636~ ? )평양에서 활동한 조선 중기의 화가. 부친 조흥종 역시 평양 일대에 글씨로 이름이 높았다. 중국 서화를 많이 소장했다.

조 속(趙涑,1595~1668)조선중기의 문인 화가.인조반정에 공을 세웠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서화 수장가로도 유명하다. 채색 산수화 이외에 화조화를 잘 그렸다. 아들 조지운(趙之耘)도 그림을 잘 그렸다.

조수현(曺首絃)서예가,일명-인간부처,號=현담(玄潭).

조수현(曺首鉉,1948~)전각가,회정의 문하(門下).호(號)는 현담(玄潭)이요, 전남 영광(靈光)에서 출생,

조수호(趙守鎬,1924~ )서예가,호=동강(東江).경북선산출생,2000년 대한민국 보관문화 훈장수상(대통령).

조영석(趙榮祏,1686~1761)관아재(觀我齋)-석계산인(石溪散人). 이조참판에추증됨.사인삼재(鄭敾,沈師正,趙榮祏),조선후기의 문인 화가. 부친 조해(趙楷)는 송시열에게 수학하였으며 자신은 김창협의 처남이자 자신의 처백부인 이희조(李喜朝)에게 수학했다. 초상화를 잘 그렸으며 특히 생활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

조용민(趙鏞敏)초서,서예가.호=운암(雲菴).

조용선(趙龍善)여안당(麗安堂). 호=산돌().

조용철(趙庸澈)초서 서예가,호=롱곡(聾谷).

조우인(曺友仁)→문인서예가, 호=이재(怡齋).

조우정(曺佑政,1942~2006)문인화가,창현 박종회 선생사사.대한민국서예문인화대전 초대작가.호=운향(雲鄕).

조윤형(曺允亨,1725~99)명필로 유명했음.호=송하(松下).
조익준(趙翼竣)→서예가. 호=월봉(月峰).

조정규(趙廷奎 1791~ ? )~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1837년 태조어진과 1846년 헌종어진 제작에 참여했다. 산수, 인물, 화조, 어해를 잘 그렸다. 어해도는 김홍도, 장한종의 영향을 받았다. 근대화가 조석진(趙錫晉)은 손자이다.

조종숙(趙琮淑)- 여류서예가. 호=규당(圭堂).한글.한문의 원로,

조주승(趙周昇,1854~1903)~ 화가,심농 조기석의 부친.號=벽하(碧下).
조주연(趙珠娟)서예가, 號=한뉘().

조중묵(趙重默,1820~ ?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시문에 능했던 조수삼(趙秀三)의 손자이다. 산수, 인물을 잘 그렸으며 글도 뛰어났다. 초상화는 이한철과 더불어 최고의 명성을 누렸다. 1846년 헌종어진 제작에 참여했다.

조중현(趙重顯,1917~1982)→화가.호=기산(岐山),심원(心園),단고(丹皐).

조지운(趙之耘,1637~1691)조선중기의 문인 화가. 조속(趙涑)의 아들이다. 부친을 따라 화조화를 잘 그렸다.

조창현(曺昌鉉)서예가, 호=월곡(月谷).


조태회(趙泰會)書藝家.호=우백(雩栢).조평휘(1932~)한국화가, 1932 황해도 연안읍 출생 1960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졸업, 호=운산(雲山),

조한호(趙翰浩) 書藝家.호=우석(宇石).

조희룡(趙熙龍,1789~1886)조선후기 서화가.김정희(金正喜)의 문인이다.호=철적.화가 강진(姜溍),이재관(李在寬) 등과 교유했으며 벽오사를 중심으로 유최진(柳最鎭), 이기복(李基復), 유숙(劉淑), 전기(田琦), 유재소(劉在韶) 등과도 교류했다. 『호산외기(壺山外記)』 『석우망년록(石友忘年錄)』을 썼다.

주 경(1905~1979→서양화가.호=태소(泰素).

주계문(朱桂汶,1945~ )행초,서예가.한국서예가협회 회장.호=석포(石浦).

주수창(朱壽昌)- 서예가,호=인월(仁月).

죽향(竹香, 19세기 후반)조선말기의 여성화가. 평양 출신의 기녀이다. 김이양(金履陽), 김정희(金正喜), 신위(申緯), 유재건(劉在建) 등 당대의 유명 인사들과 교류했다. 묵죽화는 신위에게 배워 이름을 떨쳤다. 시문에도 재주가 있어 『풍요삼선(風謠三選)』에 시가 수록돼있다.

지남례(池男禮,1946년청주출생)갈물한글서회13대회장역임 서울미술협회부회장역임 한국미술협회한글분과부위원장역임.호=중원(中原).

지운영(池雲英,1852∼1935)조선의 대화가.호=설봉(雪峰).백련(白蓮). 종두법 시행의 선구자인 석영(錫永)의 형이다. 김정희(金正喜)의 제자로 여항문인(閭巷文人)이었던 강위(姜瑋)의 문하에서 시문 등을 배웠다.

지은숙(智恩淑)書藝家.大韓民國美術大展招待作家.호=연당(硏堂).

지창한(池昌翰 ,1851~1921)구한말서화가.號=백송(白松).

진영근(陳永根,1958년전북남원출생 )전각가,호=찰지인(察地人),공재(空齋).

진재해(秦再奚, ? ~ 1735)숙종 때에 활동한 화원 화가. 1713년 숙종어진 제작에 참여했으며 초상화를 잘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조선말기의 화가.호=석지(石芝),석강(石江),정산(定山),

채응린(蔡應麟)→호=송담(松譚).


채인식(蔡仁植,1908∼1990)漢詩作家, 仁川 硏眞齋叢藁. 호=일묵(一默).

천경자(千鏡子,1920~ )여류 동양화가.호=옥사(玉史).

천영자(千英子)書藝家. 호=고은().

최 견(崔?)→書藝家. 호=만당(晩堂),

최경만(崔慶滿,1912∼1993)漢詩作家, 慶州 隱庵遺集 호=은암(隱庵).

최규상(崔圭祥,1891~1956)근대 서화가.자(字)는 백심(伯心)이요, 호(號)는 설송(雪松)이며 김제에서 출생,

최돈상(崔惇相)행초의 서예가,호=동우(東隅),

최동석(崔東錫)~ 서예가.號=청암(淸岩),

최면승(崔勉承,1912∼ )漢詩作家, 忠州 蘂城世稿附心山私稿? 호=심산(心山).

최문규(崔文奎)~ 서예가,호=휴정(),

최민렬(崔玟烈)~ 한글서예와 한문서예를 겸비한 한국서단의 출중한 중견서예가.호=밀물,

최 북(崔北,1712~1786)~ 조선후기의 직업 화가. 출생과 행적은 불분명한 점이 많다. 1747년에 통신사를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서상기』『수호전』을 즐겨 읽었으며 김홍도, 이인문, 김득신과 교류했다. 산수, 화조, 초충을 잘 그렸다.

최석화(崔錫和)- 서예가, 호=무곡(茂谷),

최석환(崔奭煥 1808 ~ ? )~ 조선말기에 활동한 화가. 포도를 잘 그렸다. 군산 일대를 무대로 활동했다.

최순자(崔順子)- 서예가, 호=여丁().

최영란(崔永蘭)- 서예가, 호=효원(曉園).

최영신()~ 화백,허백련의 마지막 수발제자.호=우봉(又峰).

최재연(崔在延)書藝家. 호=박옥(朴玉).

최정균(崔正均,1924~2001)~ 전각가,호=남정(南丁).전북 임실 출생.

최진규(崔珍圭) 서예가, 호=정천(靜泉),








































최형엽(崔炯燁,~2006)서예가,대한민국 서예전람회 심사위원.호=천암(天巖).

하곡(霞谷)-강영선(1917~1999) 생물학자, 동물학자, 유전학자, 강낙주의 아들.

하국자(河菊字)서예가, 호=청아(淸雅).

하남호(河南鎬) 서예가,호=장전(長田).하동(河東)-천승세(천승세,1939~ )소설가,극작가

 




















하동주(河東州,1865∼1943)영남의 서예대가.호=성파(星坡).

하말희(河末姬)서예가,호=우송(友松).

하복자(河福子)서예가,호=수천(秀泉).

하서(河西)-김인후(金麟厚,1510~1560)조선중기 문신,

하선규(河宣奎)서예가, 호=지암(志岩).


하영호(河永鎬)서예가, 호=정아당(貞雅堂).






하용근(河榕根)서예가. 호=벽정(碧汀).

하종현(河鍾顯)서예가, 호=이정(이정).


하태용(河泰龍) 서예가,성균서도회.호=희당(希堂).

하환규(河煥奎)서예가,호=도전(稻田).

한명택(韓鳴澤)서예가,호=취헌(翠軒).

한상렬(韓相烈)서예가.여초(如初) 김응현(金膺顯) 에게 서예를 사사,회정(褱亭) 정문경(鄭文卿) 에게 전각(篆刻) 사사.호=금사(錦史),

한상봉(韓相奉)서예가.號=희재(希齋).

한상봉(韓相奉) 한국화가.號=청암(清岩),

한성순(韓星順)서예가, 호=목원(木園).

한세희(韓世熙)서예가, 호=현죽(玄竹).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7기).

한시각(韓時覺 1621 ~ ? )조선중기의 화원 화가. 대대로 중인 집안인 청주한씨 집안 출신의 화원. 1655년 통신사를 수행해 일본에 다녀왔다. 도석인물화는 김명국(金明國)의 영향을 받았다.

한영구(韓永久)서예가,호=심천(心泉).

한용간(韓用幹,1783-1829)순조 연간의 문인 화가. 신위와 두터운 교분이 있었다. 산수화는 동기창의 화법과 심사정(沈師正), 이방운(李昉運) 등의 화풍을 따랐다.

 

한윤숙(韓允淑)서예가, 호=향원(鄕園).

한응인(韓應寅,1554∼1614)정치인,서예가.호=유촌(柳村),백졸재(百拙齋),

한종일(韓宗一,1740∼미상)조선후기의 화가.호=자연암(自然庵),우주헌(寓酒軒),

한중권(韓重權)서예가,호=여산(廬山).

한태상(韓泰相)서예가, 호=백농(白農),

함명례(咸明禮)- 서예가,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13기),호=효재(曉齋),

함세휘(咸世輝,1680 ~ ? )~ 조선후기의 화원 화가. 대대로 화원인 강릉 함씨집안 출신으로 화원 함제건(咸悌健)의 아들이다. 아들 함도홍(咸道弘), 외조카 김두량(金斗樑)도 화원이다. 장인은 화원 김구성(金九成)이며 이성린(李聖麟)은 외손자이다. 1719년 통신사의 수행화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함영대(咸泳大)- 서예가, 호=반하(伴霞).

함윤덕(咸允德,16세기)~ 조선중기의 화원 화가. 자와 호가 미상이며 출신이나 행적도 불분명하다. 유작으로 한 점이 전한다.

목향(木香)-함인석(咸仁錫)서예가,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17기),대한민국서예전람회 입선, 특선.

함제건(咸悌健,17세기)~ 조선중기의 화원 화가. 부친은 화원 함경룡(咸慶龍)이며 함세휘(咸世輝)는 아들이다. 1682년 통신사 일행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허 결(許 潔·1862~1938)~ 미산(米山)-

허경무(許慶武)~ 서예가.호=석계(石溪).

허 련(許鍊 1808~1893)~ 조선말기의 서화가. 근대 호남화단의 창시자이다. 초명은 연만(鍊萬). 김정희의 지도를 받은 이후부터 허유(許維)라고 했다. 850년 이후에는 허련(許鍊)으로 바꾸었다. 유는 당나라 왕유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산수, 화조, 묵죽도를 잘 그렸다.

허 민(許 珉,1911~1967)~ 이당 김은호(金殷鎬)의 제자로 그의 문하에서 사사를 받았다.호=운전(芸田).

허민수(許敏秀)서예가, 호=장암(壯巖).

허백련(許百鍊,1891~1977)동양화가, 호=의재(毅齋).

허영상(許泳相)- 書藝家.호=운산(雲山).대한민국서예전람회 초대작가.

허영조(許英祚)-서예가,호=소선(素仙).

허인길(許仁吉,)~ 서예가,號=죽촌(竹村).

허인무(許寅茂)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호=인산(仁山).

허 필(許佖,1709∼1768 ]조선후기의 문인 화가. 종조부가 있는 안산에서 강세황(姜世晃), 이용휴(李龍休), 유경종(柳慶種), 신광수(申光洙) 등과 교우했다. 특히 강세황과는 평생 절친한 친구로 지냈다. 서화골동 취미가 있었다. 강세황을 비롯해 정선과 조영석 작품에 평을 남겼다.
허 형(許 瀅,1862~1938)~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한 한국의 화가.호=미산(米山),

현병찬(玄昞璨)書藝家.호=한곬().

현익주(玄益柱)~ 서예가.號=한석(漢石).

현중화(玄中和)~ 제주의 대표적 서예가.호=소암(素菴)-

형계순(邢桂順,)~ 서예가.號=화천(和泉).

홍대연(洪大淵 ? ~ ? )~ 조선말기에 활동한 화가.

홍덕선(洪德善)서예가, 호=춘파(春坡).

홍득구(洪得龜,1653 ∼ ? )- 조선중기의 문인화가. 영의정 홍명하(洪命夏)의 손자이다.그림을 배운 이력을 불분명하지만 산수와 인물을 잘그렸다.

홍서진(洪瑞珍)- 서예가,호=금정(衿亭).













홍성모(洪性模)- 서예가,한국서예연구회 초대작가. 호=호천(浩泉).







홍성분(洪性分)- 서예가,호=갈산(갈산).

홍정선(洪貞善)書藝家. 호=보현(甫炫).

홍세섭(洪世燮 1832 ~1884)- 조선후기의 문인화가. 영의정을 지낸 홍서봉(洪瑞鳳)의 후손으로 부친은 공조 판서를 지낸 홍병희(洪秉僖)이다. 산수, 영모, 절지를 잘 그렸다. 특히 영모화에서 새로운 감각과 구도를 선보였다. 종조부 홍대연(洪大淵)도 그림을 잘 그렸다

홍순갑(洪淳甲)서예가.호=성곡(聖谷).

홍승희(洪承熙)서예가, 호=임실(任室).

홍영순(洪英順)→書藝家. 호=샘물(紫雲).

홍우기(洪愚基)서예가. 호=의석(義石).

홍우길(洪祐吉,1809-1890)~ 조선후기의 문신,서화가,號=춘산(春山).연탄(硏灘),애사(靄士).

홍정표(洪貞杓)~ 만농(晩農)-

홍종시(洪鍾時,1857~1936)~ 개화사상,풍류가 넘치는 문사(文士).근대 제주도의 대표적 서예가.호=연옹(硏翁),연농(硏農)-

황금자()- 서예가,號=산내(),

황영두(黃永斗,1881~1957)~ 경남 사천태생.고종 황제 때 궁정화가였다.號=매산(梅汕).

황석봉(黃晳捧,1949- )- 서예가,서화 전각가,號=시몽(是夢).황석봉 씨 작품은 국순당 백세주의 글씨와 웅진식품 아침햇살 수묵그림으로 대중들에게 이미 알려져 있다.

홍수주(洪受疇,1642~1704)~ 조선중기의 문인 화가. 부친은 관찰사를 지낸 홍처윤(洪處尹)이다. 1695년 청나라를 다녀왔고 도승지를 거쳐 형조참판을 역임했다. 매화, 포도, 대나무를 두루 잘 그렸다. 특히 포도 그림으로 이름이 높았다.

황귀순(黃貴順)書藝家.호=우당(愚當).

 

황규항(黃奎亢)서예가.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호=은당(恩堂).





황상원(黃祥源)서예가,호=우인(宇仁).

황선덕(黃善德)서예가,호=미산(眉山),

황성빈()서예가,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9기), 호=필재().

황성현(黃晟現)서예가.성균서도회 지도강사(1978~1984). 호=죽봉(竹峰).동춘().

 

황인표(黃仁杓)서예가, 호=모현(茅峴).

황집중(黃執中,1533-?)1576년진사시에 합격,벼슬은 경력(經歷).묵포도(墨葡萄)를 특히 잘그려 이정(李霆)의 묵죽(墨竹)과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다.호=영곡(影谷).

황창배(黃昌培)전각서예가,철농(鐵農)이기우의(사위).호=소정(素丁),

황태현(黃泰鉉)서예가.호=정곡(靜谷).

황혜성(黃惠聖)書藝家. 호=경당(耕堂).













황영배(黃榮培)- 한국화가.號=구암(龜岩),

황 욱()~ 서예가.號=석전().

황윤명(黃允明,1844- ? )~ 춘파(春坡).

황준현(黃晙玹)~ 書藝家.號=경암(敬庵).

황집중(黃執中,1533~1593)~ 朝鮮時代 14대宣祖 때의 화가(畫家)-포도.삼절(三絶.이정-묵죽,어몽룡-매화,)의 일인,호=영곡(影谷).

황창배(黃昌培)~ 전각서예가,철농(鐵農)이기우의(사위).호=소정(素丁).

황치봉(黃致奉)~ 서예가.號=민촌(民村).

황태현(黃泰鉉)- 서예가.號=정곡(靜谷)

 

 

  









황성현(黃晟現)~ 서예가.호=죽봉(竹峰).















         

출처 : 이보세상
글쓴이 : 이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