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 목 | 보물 제1645호 | ||
---|---|---|---|
명 칭 | 안동 광흥사 동종(安東 廣興寺 銅鍾) | ||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 ||
수량/면적 | 1구 | ||
지 정 일 | 2010.02.24 | ||
소 재 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대두서리 | ||
시 대 | 조선시대 | ||
소유자 | 광흥사 | ||
관리자 | 광흥사 | ||
15세기 후반의 해인사종(海印寺鐘, 1491년)을 마지막으로 16세기 중엽까지 범종의 제작은 갑자기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며 이를 반영하듯 아직까지 이 시기에 만들어진 기년명(紀年銘) 범종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 50~60년의 공백기를 지나면서 조선중기의 범종은 전대에 많이 만들어졌던 외래형인 중국종 양식을 따른 작품에서 점차 한국종과의 혼합을 이루는 혼합 범종으로 바뀌어 가며 또한 지극히 미미하게 계승되었던 한국 전통형을 따른 범종이 점차 확산되는 두 가지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던 16세기를 지나 임란(壬亂)과 호란(胡亂)을 거치면서 17세기에 들어오면 이제 혼합형 종과 전통형 종이라는 두 가지의 커다란 양식으로 정착을 이루게 되어 조선후기 범종으로 자리매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물 제1618호 대한제국 고종「황제어새」(大韓帝國 高宗「皇帝御璽」) (0) | 2016.01.09 |
---|---|
[스크랩] 500년을 이어온 지리산의 명당 함양일두고택/우리땅 걷기 지리산길 제3코스 (0) | 2016.01.09 |
[스크랩] 보물 제1652호 통영측우대(統營測雨臺) (0) | 2016.01.08 |
[스크랩] 거북선 실체의 모습 근거자료 발견 (동영상 정보) (0) | 2016.01.07 |
[스크랩] 세계 4대문명 유적지 (NHK-다큐멘터리) (0) | 2016.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