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스크랩] 손사막의 양생지도(養生之道)

강나루터 2018. 10. 22. 08:49

손사막의 양생지도(養生之道)

 

천금요방과 천금익방을 합하여 천금방이라고 칭한다. 당 나라 때 저명한 의학가 손사막의 저작이다.

 

손사막은 경조(京兆) 화원(華原 : 현재 陝西省耀縣 孫家源)사람이다. 손사막의 출생년 과 졸년(卒年)에 관하여 여러 가지 학설이 있는데 102(서기581서기682), 120, 141세 등이며 아무튼 100세 이상은 살았으므로 역대 학자들은 손사막을 장수한 의학가로 공인했다.

 

손사막은 어려서부터 글 공부하기를 좋아하여 경전(經典)과 철학 서적과 양생서와 의서(醫書) 등을 열심히 탐독하여 후세 사람들로부터 약왕(藥王)이란 존칭을 얻었다. 수나라 왕들과 당 나라 왕들로부터 관리를 천거 받았으나 그는 관직을 버리고 불쌍한 백성들의 질병을 치료하여 주었으며 만년에 의서 편찬에 만 주력하여 천금방을 저술하였다.

 

세계 여러 나라의 학자들로 부터 천금방은 인류지지보(人類之至寶)” 라는 영예를 얻었다. 다시 말하면 천금방은 전 세계 인류의 가장 중요한 보귀적인 의서이다.” 는 뜻이다.

 

손사막은 인명지중(人命至重), 유귀천금(有貴千金), 일방제지(一方濟之), 덕유어차(德逾於此).” 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사람의 목숨은 천금 보다 더 귀하다. 약방 하나로 사람의 목숨을 구제할 수 있는데 이는 크나 큰 덕이 아닐 수 없다.” 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두 개의 의서(醫書)의 첫머리에 천금(千金)” 이란 단어를 사용한 이유이다. 손사막은 의술이 고명할 뿐만 아니라 의덕 또한 고상했다. 천금요방 중에 대의정성편(大醫精誠篇)에 보면 의덕(醫德)에 관하여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손사막은 또 양생학에도 공헌한 바가 크다. 손사막은 기공(氣功)과 운동 등을 비롯한 양생법을 통하여 가득일이백년(可得一二百年)” 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사람은 100살 내지 200살 까지 살 수 있다.” 는 뜻이다.

 

현대 과학자들에 의하면 사람의 수명은 100세 내지 175세 까지 라고 추측하고 있다. 손사막은 1400여 년 전에 현대 과학자들과 비슷한 추측을 하였다.

 

손사막은 100살 때 천금익방(千金翼方)을 저술하였다. 손사막은 정신조절을 중시했으며 음식으로 질병을 치료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천금요방 중 식치편(食治篇)과 천금익방 중 양로식료편(養老食療篇)에 보면 제일 먼저 음식 양생과 음식 치료를 수록해 놓았다. 손사막이 주장한 연정(練精)과 절욕(節慾)과 도인(導引)과 침구(鍼灸)와 복이(服餌)와 환경개선 등은 과학적인 양생방법이다.

 

손사막의 천금방은 편작과 중장통(仲長統)과 포박자(抱朴子)와 열자(列子)와 팽조(彭祖)와 노자(老子)와 기황(기황) 등 제가(諸家)의 학설을 널리 취하여 저술되었다. 손사막은 고인들의 양생 경험을 총집결하였다. 결국 손사막은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제가의 양생학설을 집대성한 사람이다.

 

손사막의 양생지도(養生之道)는 대부분 천금방 중 양성편(養性篇)과 식치편과 양로식료편과 퇴거편(退居)과 침구편과 약물 양생편에 수록되어 있는데 내용이 풍부하고 이론과 논술이 치밀하고 정밀하다.

 

(1) 음식 양생

 

천금요방-식치편에 보면 안신지본(安身之本), 필자우식(必資于食), 부지식의자(不知食宜者), 부족이존생야(不足以存生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몸을 편안하게 해주려면 반드시 음식에 의존해야 된다. 자신에게 알맞고 적합한 음식에 대하여 잘 모르는 사람은 생존하기에 부족한 사람이다.” 는 뜻이다.

 

즉 합리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만이 건강한 신체를 소유할 수 있다는 말이다.

 

현대 의학 연구 실험 결과 부적당한 음식으로 인하여 발생한 암증(癌症)35%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너무나 지나치게 뜨거운 음식을 좋아하면 식도암에 걸릴 확률이 높고 황곡미독소(黃曲霉毒素)와 아초안(亞硝胺 : Nitrosamine)과 카드뮴(cadmium)과 납(Lead) 등 독성 미량원소 등이 포함되어 있는 음식물을 섭취한 사람들은 암증에 걸리기 쉽다.

 

(2) 음식요법이 약료법(藥療法) 보다 좋다.

 

천금요방-식치편(食治篇)에 보면 식능배사이안장부(食能排邪而安臟腑), 열신상지이자혈기(悅神爽志以資血氣), 약능용식평구석정견질자(若能用食平痀釋情遣疾者), 가위양공(可謂良工), 장년이오지기법(長年餌老之奇法), 극양생지술야(極養生之術也). 부위의자(夫爲醫者), 당이선동효병원(當以先洞曉病源), 지기소범(知其所犯), 이식치지(以食治之), 식료불유(食療不愈), 연후명약(然後命藥). 약성강열(藥性剛烈), 유약어병(猶若御兵), 병지맹폭(兵之猛暴), 기용망발(豈容妄發), 발용승의(發用乘宜), 손상처중(損傷處衆), 약지투질앙남역연(藥之投疾殃濫亦然).”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음식은 인체 내의 사기를 몰아내 주고 오장육부를 편안하게 해주며 혈기를 더해주고 마음을 즐겁게 해준다. 만일 음식으로 곱사등이도 고쳐주고 병정을 완화시켜 주며 모든 질병을 물리칠 줄 아는 사람은 훌륭한 의사이다. 식이요법은 가장 좋은 양생술이다. 의사들은 모름지기 병의 원인을 살펴 명확히 알아내고 먼저 음식으로 치료해야 된다. 만일 음식으로 병이 치료되지 않을 경우 약을 써야한다. 약성은 강렬하여 군사와 같다. 군사들은 맹렬한 기세를 이용하여 기회를 틈타 여러 곳을 파괴시킨다. 약도 군사들과 마찬가지로 질병 부위를 마구잡이로 때려 부순다.” 는 뜻이다.  

 

음식은 맛이 있기 때문에 약 보다 복용하기 좋고 부작용이 없으며 의원성(醫原性) 질병이 감소된다. 지난 1400여 년 동안 손사막의 영향을 받아 약선전과(藥膳專科)가 형성되었으며 신속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미량원소 결핍증과 미량원소 중독증은 질병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결철성빈혈증(缺鐵性貧血症)이 아동들에게 많이 발생하고 셀레늄(Selenium) 부족으로 만성 심근성(心筋性) 질환이 발생하며 지방성(地方性) 불소(弗素 : Fluorine) 중독증도 발생되는데 이러한 질병은 식물로 조정하여 예방 치료할 수 있다.

 

(3) 적시에 적당량의 음식 섭취

 

천금요방-양성편에 보면 선양성자(善養性者), 선기이식(先飢而食), 선갈이음(先渴而飮), 식욕수이소(食慾數而少), 불욕돈이다(不慾頓而多), 직난소야(則難消也). 개포직상폐(盖飽則傷肺), 기직상기(飢則傷氣), 함직상근(咸則傷筋), 초직상골(醋則傷骨), 고매학담식(故每學淡食). 일일지기(一日之忌), 모무포식(暮無飽食). 야포손일일지수(夜飽損一日之壽). 음식요청담(飮食要淸淡), 적량(適量), 적시(適時), 소흘다찬(少吃多餐), 특별강조만찬량의소(特別强調晩餐量宜少), 확속음식양생지강요(確屬飮食養生之綱要).”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여 병에 걸리지 않고 오래 살기를 꾀하는 자들은 배고플 때 먹고 목마를 때 마셔라. 식욕은 적을수록 좋고 갑자기 많은 음식 욕심을 내면 소화시키기 어렵다. 배가 너무 부르면 폐를 상하고 배가 너무 주리면 기()를 상하며 짠 음식은 근육을 상하게 하고 신 음식은 뼈를 상한다. 고로 소금기가 적은 음식을 먹어야 한다. 하루의 금기는 저녁에 포식하지 말 것이며 밤에 포식하면 24 시간(하루) 생명이 단축된다. 음식은 담백하게 먹을수록 좋고 적당한 때에 적당한 양 만큼 먹어야한다. 음식의 양은 조금씩 여러 차례 먹는 것이 좋다. 특별히 저녁 식사는 소량을 취해야 된다.

 

이상은 손사막(孫思邈)의 진실한 음식 양생의 비결이다.

 

[석영창의 한의학 이야기]

 

출처 : 침뜸 배워 남 주는 사람들
글쓴이 : 천리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