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이야기

이방자

강나루터 2019. 12. 27. 07:43



이창주 | 조회 365 |추천 0 | 2014.10.07. 11:02

이방자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
Yi Bangja.jpg
칭호현덕정목온정자행황태자비
배우자대한제국 제3대 황실 수장
의민황태자
자녀회은황태손 이구
부모아버지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어머니 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
출생1901년 11월 4일(1901-11-04)
일본 제국 일본 제국 도쿄
사망1989년 4월 30일 (87세)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창덕궁

이 마사코( ()方子 (まさこ), 1901년 11월 4일 ~ 1989년 4월 30일) 또는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일본어: 梨本宮 方子 (なしもとのみや まさこ))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비로 의민태자 이은(李垠)의 비이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올린 사시(私諡)는 현덕정목온정자행황태자비(顯德貞穆溫靖慈行皇太子妃)이다.

 

이은과 결혼[편집]

뉴욕트리뷴에 실린 이방자 (1919년)
일본 육군대학을 졸업할 무렵의 영친왕 부부 (1923년)

1901년 11월 4일, 메이지 천황의 조카이자 황족인 나시모토노미야(梨本宮) 모리마사(守正)와 그의 부인 이쓰코(伊都子)의 장녀 마사코(方子)로서 도쿄에서 태어났다. 사촌인 구니노미야 나가코(후에 고준 황후가 됨) 및 화족 이치조 도키코 등과 함께 황태자 히로히토의 강력한 배우자 후보로 떠올랐

 

으나, 미미한 정치적 기반과 불임의 가능성을 이유로 1916년, 일본에 유학하고 있던 대한제국 황태자 이은과 약혼하였다. 1920년, 일본 황실의 교육기관인 학습원(學習院) 여자고등과를 거쳐 같은 해 4월 28일, 도쿄 롯폰기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1921년, 장남 진(晉)을 낳았다. 그러나 이듬해, 첫돌도 채 지나지 않은 진을 조선 방문 중에 잃는 슬픔을 경험했다.

 

1931년, 둘째 (玖)를 낳고 다시 단란한 생활을 하였으나 1945년, 일본의 패전 후 이왕가(李王家)가 폐지됨에 따라 신분이 강등되어 재산을 몰수당하고, 의민태자의 복권을 두려워 했던 이승만 대통령

 

의 방해로 귀국마저 좌절되자 재일 한국인으로서 고된 삶을 살았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하야, 새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의 초청으로 1963년, 가족과 함께 귀국하여 한국 국적을 회복하고 창덕궁(昌德宮) 낙선재에 기거하였다.

사회봉사활동[편집]

이방자는 한국에서 지내며 평소 남편과 구상해 온 사회봉사를 시작해 1963년, 신체장애자재활협의회 부회장에 취임하기도 하였으며 1966년, 장애인들의 재활을 위해 자행회(慈行會)를, 1967년, 언어장애인소아마비장애인들의 사회 적응을 위해 명휘원(明暉園)을 각각 설립하는 한

 

편, 해외 모금 활동과 칠보(七寶)를 통해 복지 사업 자금을 모았다. 1970년, 남편을 잃고 1971년, 지적장애어린이들의 교육을 목적으로 수원자혜학교(慈惠學校)를 설립하였다. 1973년, 숙원 사업이었던 영친왕기념사업회를 발족시켰으며 1982년에는 광명시명혜학교(明惠學校)

 

이사장으로 재직하는 등, 국가의 생활비 보조로 생계를 유지하는 어려운 생활 여건 속에서도 사회봉사에 정열을 쏟아 한국 장애인들의 어머니로 존경받았다. 일본에서는 한국인들의 존경을 받은 일본인으로 알려져 있다.

서거[편집]

말년에는 직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후 일본에 있는 아들 구(玖)와 함께 지내기도 하다가 1989년 4월 30일, 서울 창덕궁 낙선재에서 운명하였다. 장례는 1989년 5월 8일, 각계 인사 등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장으로 치러졌으며 경기도 남양주 금곡동 홍유릉 영원(英園)에 의민태자와 합장되었

 

다. 생전에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하였고 그 밖에도 서울특별시문화상, 적십자박애장 금장, 5·16민족상, 소파상 등을 수상한 바 있으며 많은 저서를 남겼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에 추서되었다.

 

2006년 11월, 일본 후지TV에서 의민태자 부부의 사랑을 그린 드라마 "무지개를 이은 왕비(虹を架ける王妃)가 방영되어 논란이 되었다. 2007년 당시, 대한민국에서는 탤런트 김희애를 주연으로 의민

 

태자비의 일대기를 그릴 드라마가 기획 중이었으며, 그 이전에도 탤런트 이휘향이 의민태자비 역할로 출연한 미니시리즈 드라마 왕조의 세월한국방송에서 방영된 바 있다.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기 금선정  (0) 2020.01.05
오대징  (0) 2020.01.02
송지영  (0) 2019.12.18
고운선생 유적지  (0) 2019.12.15
역관 홍순언  (0) 2019.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