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감상

行香子·江上(행향자 강상)

강나루터 2020. 8. 1. 06:28

行香子·江上(행향자 강상)/증렴-명문 감상 | 13.명문 감상

한상철 2020. 7. 31. 16:37

http://blog.daum.net/jukgeun/14575735

行香子·江上(행향자 강상)

 

증렴(曾廉)/淸末 近代

蘭槳雙飛 洞口依微(난장쌍비 동구의미) 한 쌍의 목란 노 잽싸고 골짜기 입구 어렴풋한데

神仙家 自古人稀(신선가 자고인희) 신선가에 예부터 사람이 드물었지

且跟漁父 背件蓑衣(차근어부 배건사의) 또 어부를 따라 등에는 도롱이 걸쳤네

正秫酒香 蘆筍嫩 鱖魚肥(정출주향 노순눈 궐어비) 때마침 풍기는 고량주 향갈대 싹 돋고 꺽지 살찌는데

月色江聲 一葉船歸(월색강성 일엽선귀) 달빛 아래 강물 소리 들리고 조각배 하나 돌아가네

綠陰中 犬吠柴扉(녹음중 견폐시비) 녹색 그늘 가운데 개 짖는 소리 나는 사립문

二三稚子 栩栩天機 (이삼치자 허허천기 ) 두어 명의 아이들 생기발랄한 영성을 지니고

念千字文 百家姓 千家詩(염천자문 백가성 천가시) 천자문과 백가성 천가시를 염송하네

 

 

- 依微: 아리송하고 어렴풋하다(隱約).

- 天機: 영성(靈性, 天賦靈機).

- 千字文: 남북조(南北朝) 시대 남조(南朝) ()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칙령(勅令)을 받들어 편찬한 학습서.

-百家姓: 북송(北宋) 초에 발간된 작가미상의 학습서. 나라 안의 성씨를 41구의 운문 형식으로 엮었다. 출간 당시 411개의 성씨를 수록하였고, 나중에 보충하여 504(또는 568)의 성에 이르렀다. 여기에는 단성(單姓) 444, 복성(複姓) 60(또는 124) 실려 있다. 百家姓은 앞부분에 `조전손리`(趙錢孫李)의 순서로 시작하고 있다. 당시 송나라 황성(皇姓) ``, 전당(錢塘)지역의 오월(吳越)국왕 성씨인 ``, 吳越국왕 전숙(錢俶)의 정비인 ``씨와 남당(南唐) 국왕인 ``씨를 앞세운 것이다. () 왕응린(王應麟)이 편찬한 훈몽교재(訓蒙敎材) 삼자경(三字經), 천자문(千字文)과 더불어 훗날 `삼백천`(三百千)으로 불렸으며, 아이들의 교육용으로 널리 쓰였다. 명대(明代) 사상가 여곤(呂坤) "처음 사학(社學)에 들어가는데 8세 이하였다. 먼저 三字經을 읽고 견문(見聞)을 익히고, 百家姓을 읽고 날마다 쓰기에 편리하게 하며, 千字文을 읽고 뜻과 이치(義理)에 밝게 한다"고 했다. 여기서 社學은 남송 때 처음 만들어졌고, ()(()을 거치면서 크게 발달한 향촌의 교화 기관을 말한다.

- 千家詩: 청초(淸初)에 편찬된 5언 또는 7언의 시가집(詩歌集).

* 다음블로그 청경우독 무하유지향에서 인용 수정함(2020. 7. 31)

 

* 청대 ( 淸代 ) 유용 ( 劉墉 ) 의 해서 ( 楷書 ) < 三字經 > 책엽 ( 冊頁 ) (1802 年作 , 水墨紙本 , 18×25cm×8)

'한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德川家康長子有意禪學求語再勤仍示之  (0) 2020.08.18
雜 時(잡시)十二首(12수) 도연명  (0) 2020.08.09
전가즉사(田家卽事)  (0) 2020.05.14
석류꽃  (0) 2020.05.12
들판의 참새조식(曹植  (0) 2020.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