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이야기

갈담삼장

강나루터 2020. 10. 12. 17:07

목록 이전글 다음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답글 수정 삭제 스팸처리

▶축제,행사, 공연,전시 서예 기현스님 영적展,- 사경작품 개인전(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 2010.09.29~10.05)

현문 추천 0 조회 97 10.09.08 15:38 댓글 0

북마크번역하기

1-1-2. [國風 周南 제2篇 葛覃三章] 1/3

葛之覃兮

施于中谷하야

維葉萋萋어늘

黃鳥于飛

集于灌木하야

其鳴喈喈러라

賦也

칡넝쿨이 서리서리,

골짜기에 뻗어나가

그 잎도 무성하다.

꾀꼬리 날아와서,

관목에 모여앉아

꾀꼴꾀꼴 노래하네.

賦也

부라.

 

草名이니 蔓生可爲絺綌者

칡은 풀이름이니 죽죽 뻗어서 (그 껍질로) 갈포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오 移也中谷谷中也

담은 뻗음이고, 이는 옮김이다. ‘중곡’은 골짝이 가운데다.

 

萋萋盛貌黃鳥鸝也灌木叢木也

처처는 무성한 모양이다. 황조는 꾀꼬리다. 관목은 떨기나무다.

 

喈喈和聲之遠聞也

‘개개’는 화하는 소리가 멀리 들리는 것이다..

 

○賦者敷陳其事而直言之者也

○부라는 것은 그 일을 펼쳐서 곧바로 말하는 것이라.

 

蓋后妃旣成絺綌而賦其事하고 追敍初夏之時葛葉方盛而有黃鳥鳴於其上也

대개 후비가 이미 갈포를 만들었는데 그 일을 시로 노래하고, 초여름 때에 칡잎이 한창 무성한때에 데 그 위에서 황조가 울고 있음을 미루어 말한 것이다).

 

凡言賦者放此리라

모든 ‘부’라는 것은 이와 같이 말함이다.

 

覃 : 뻗을 담,

施 : 베풀 시, 여기서는 ‘옮길 이’

萋 : 풀이 무성하게 우거진 모양 처

喈 : 새 울음소리 개

鸝 : 꾀꼬리 이

蔓 : 덩굴 만, 뻗을 만

絺 : 가는 갈포(葛布) 치

綌 : 굵은 갈포 격 撋

 

賦 : 보이는 대로 들리는 대로 그대로 표현하는 방식.

 

 

1-1-2. [國風 周南 제2篇 葛覃三章] 2/3

葛之覃兮

施于中谷하야

維葉莫莫어늘

是刈是濩하야

爲絺爲綌호니

服之無斁이로다

賦也

칡넝쿨이 서리 서리

골짜기에 뻗어나가

그 잎도 무성하다.

이걸 베고 저걸 삶아,

가는베 짜고 굵은베 짜니,

입을수록 싫지 않네.

 

莫莫茂密貌이오 煑也曰絺曰綌이라 厭也

막막은 성하고 빽빽한 모양이다. 예는 베는 것이고, 확은 삶는 것이다. 고운 것은 치라 하고, 굵은 것은 격이라 한다. 역은 싫어함 이다.

 

○此言盛夏之時葛旣成矣於是治以爲布而服之無厭하니 蓋親摯其勞而知其成之不易일새 所以心誠愛之하야 雖極垢弊而不忍厭棄也

○이는 한 여름에 칡이 이미 다 자란 것이다. 이에 다스려서 써 갈포를 만들어 입는데 싫지 않다는 말이니, 이것은 친히 그 수고로움을 맡아서 그 옷을 만듦이 쉽지 않음으로 심성으로 아껴서 비록 다하여 때가 묻고 헤어져도 차마 싫어서 버리지 않는 것이다.

 

莫 : 여기서는 성할 막

刈 : 벨 예

濩 : 삶을 확

斁 : 싫을 역

煑 : 삶을 자, 煮와 같음

麤 : 거칠 추

 

 

 

1-1-2. [國風 周南 제2篇 葛覃三章] 3/3

言告師氏하야

言告言歸호라

薄汚我私

薄澣我衣

害澣害否

歸寧父母호리라

賦也

여스승께 말씀드려

친정간다 고하노라.

얼른 내 옷 빨아놓고

서둘러 예복도 빨았다네.

무엇인들 안 빨쏜가.

친정부모 뵈러가리.

 

辭也女師也猶小也煩撋之하야 以去其汚猶治亂而曰亂也澣則濯之而已燕服也禮服也何也安也謂問安也

언은 말씀드림이다. 사는 여스승이다. 박은 잠깐과 같다. 오는 번거롭게 비벼서 그 더러움을 제거하니, 난을 다스리는 것을 亂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 빨면 씻겨질 뿐이다. 사는 연복(평상복)이다. 의는 예복이다. 할은 ‘어찌’다. 영은 편안함이니 문안을 이른다.

○上章旣成絺綌之服矣此章遂告其師氏하야 使告于君子以將歸寧之意하고 且曰盍治其私服之汚而澣其禮服之衣乎何者當澣 而何者可以未澣乎我將服之하야 以歸寧於父母矣

○윗장에 이미 갈포 옷을 만들고, 이 장에 드디어 그 사씨(여스승)에게 말하여 그가 군자(남편)에게 장차 귀녕(근친)하는 뜻으로써 고하게 하고, 또한 말하기를 “어찌 그 사복의 더러움은 다스리고 그 예복은 빨지 아니하랴. 어떤 것은 마땅히 빨고 어떤 것은 빨지 아니하랴. 내 장차 옷을 입고서 써 부모에게 돌아가 문안드리리라.”

葛覃三章六句

갈담3장에 장마다 여섯 구절이다.

此詩后妃所自作이라 無贊美之詞이나 於此可以見其已貴而能勤하고 已富而能儉하며 已長而敬不弛於師傅하고 已嫁而孝不衰於父母하니 皆德之厚而人所難也小序以爲后妃之本이라 하니 庶幾近之로다

이 시는 후비 스스로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찬미하는 말이 없다. 그러나 이에 그 이미 귀하되 부지런하고. 이미 부하되 검소하며. 어른이되 사부에 대한 공경이 느슨하지 아니하고, 이미 시집갔으되 부모에 대한 효가 쇠하지 않을 수 있었으니, 이는 다 덕의 후함이요 사람이 하기 어려운 것이다. 소서에 후비의 근본이라 하니 가깝다.

言 : 어조사 언

歸 : 돌아갈 귀, 시집갈 귀, 근친갈 귀’

覲親 :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歸寧

薄 : 얇을 박, 잠깐 박

汚 : 더러울 오, 문댈 오, 빨 오

澣 : 빨 한

害 : 어찌 할

撋 : 비빌 민(연)

燕 : 제비 연, 잔치 연, 잔치는 한가로운 때에 하므로 여기서 燕은 ‘여느 때, 보통 때’를 나타낸다.

亂 : 다스릴 난. 난을 다스리는 것을 亂이라고 한다. (난리를 다스리려면 일단 난리를 치러야 하기 때문에 亂에 治亂의 뜻이 있는 것이다).

유하기기능 더보기

SNS로 공유하기 펼쳐짐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cafe.daum.net/43sudawon/4PuR/539?svc=cafeapiURL복사

공유목록 닫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공유목록 닫기

게시글 본문내용

 

'경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공 問器  (0) 2020.10.20
보전 삼장  (0) 2020.10.12
임염양욱  (0) 2020.09.29
서경ㅇ로본 대학  (0) 2020.09.22
라즈니쉬 명언  (0) 2020.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