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야편 16장
子曰(자왈) 質勝文則野(질승문즉야)요 文勝質則史(문승질즉사)니 文質(문질)이 彬彬然後(빈빈연후)에 君子(군자)니라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質(본바탕)이 文(아름다운 외관)을 이기면 野人이요, 文이 質을 이기면 史(겉치레만 잘함)이니, 文과 質이 적절히 배합된 뒤에야 君子이다.” 野는 野人이니 言鄙略也요 史는 掌文書니 多聞習事而誠或不足也라 彬彬은 猶班班이니 物相雜而適均之貌라 言學者當損有餘하고 補不足이니 至於成德이면 則不期然而然矣리라 ‘野(야)’는 野人(야인, 촌사람)이니 비루하고 소략함을 말하고, ‘史(사)’는 文書(문서)를 맡은 자이니 見聞(견문)이 많고 일 에 익숙하나 성실성이 혹 부족한 것이다. ‘彬彬(빈빈)’은 班班(반반)과 같으니, 물건이 서로 섞여 적당한 모양이다. 배우는 자는 마땅히 有餘(유여)한 것을 덜어내고 부족한 것을 보충해야 함을 말씀한 것이니, 德(덕)을 이룬 군자에 이른다면 이렇게 되기를 기약하지 않아도 이렇게 될 것이다. ☉ 楊氏曰 文質은 不可以相勝이라 然이나 質之勝文은 猶之甘可以受和요 白可以受采也어니와 文勝而至於滅質이면 則其本亡矣니 雖有文이나 將安施乎아 然則與其史也론 寧野니라 ☉ 양씨(楊時(양시))가 말하였다. “文(문)과 質(질)은 서로 이겨서는 안 된다. 그러나 질이 문을 이김은 그래도 단맛이 調味(조미)를 받을 수 있고 흰색이 채색을 받을 수 있는 것과 같지만, 문이 이겨 질을 없앰에 이른다면 그 근본이 없어지니, 비록 문이 있은들 장차 어디에 베풀겠는가. 그렇다면 史(사)보다는 차라리 野人(야인)이 나은 것이다.” |
'경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천황 破天荒 (0) | 2023.12.18 |
---|---|
险之时用大矣哉 (0) | 2023.12.15 |
顔淵편 (0) | 2023.12.11 |
논어(論語) 옹야(雍也)편(篇) 16장(章). 문질빈빈(文質彬彬 (0) | 2023.12.11 |
존심양성(存心養性) (0) | 202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