難得糊塗난득호도, 吃虧是福흘휴시복'
난득호도 難得糊塗
聰明難, 糊塗難 총명난, 호도난
由聰明轉入糊塗更難 유총명전입호도갱난
放一著, 退一步, 當下心安 방일저, 퇴일보, 당하심안
非圖後來福報也 비도후래복보야
총명하기는 어렵고, 어리석기도 어렵다.
총명한 사람이 어리석게 되기는 더욱 어렵다.
집착을 버리고 한걸음 물러서는 순간 마음이 편해지며,
뜻하지 않고 있노라면 후에 복으로써 보답이 올 것이다.
흘휴시복吃虧是福
滿者損之機 만자손지기
虧者盈之漸 휴자영지점
損於己卽盈於彼 손어기즉영어피
各得心情之半 각득심정지반
而得我心安卽平 이득아심안즉평
且安福卽在時矣 차안복즉재시의
"가득차면 덜어지게 되어 있고
비어 있으면 점점 차게 되어 있다.
내가 손해를 보면 다른 사람이 이익을 본다.
그러면 각각 심정의 절반씩을 얻는 것이다.
나는 마음이 편안해 지는 것을 얻게 되니
이 어찌 복 받을 때가 아니겠는가.
*중국 청靑나라의 화가 겸 서예가로 유명한 판교 정섭(1693~1765)의 '난득호도難得糊塗'와 '흘휴시복吃虧是福'을 설명하는 글이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난득호도'는 '어리숙해 보이는 게 어렵다'는 뜻이고, '흘휴시복'은 '손해를 보는 것이 곧 복이다'라는 뜻이다.
이 말이 나온 유래는 다음과 같다.
산둥山東성의 지방관리로 근무하던 정판교는 어느 날 먼 친척으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편지에는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가옥의 담장을 놓고 이웃과 송사가 벌어졌으니 지방관에게 잘 봐달라는 편지 한통을 써달라는 청탁이었다. 정판교는 편지를 다 읽은 뒤 시 한 수를 답장 대신 보냈다.
千里肖書爲一牆 천리소서위일장
讓他幾尺又何妨 양타기척우하방
萬里長城今猶在 만리장성금유재
不見當年秦始皇 불견당년진시황
"천 리나 편지를 보낸 것이 담장 하나 때문인가?
그에게 몇 자를 양보하면 또 어떤가?
만리장성은 아직도 남아있는데
어찌 진시황은 보이질 않는가
그는 이 시와 함께 '난득호도難得糊塗'와 '흘휴시복吃虧是福'이라 직접 쓴 편액을 함께 보냈다고 한다.
*사진은 초여름 풍경 중 놓치지 않고 찾아보는 모습이다. 여러해살이풀의 한 종류인 '띠'가 꽃을 피웠다. 산들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이 하늘의 구름처럼 가볍다. 그 한가로운 모습이 좋아서 찾아보지만 정작 속내는 따로 있다. 세상살이 온갖 욕심의 굴곡을 내달리며 무거워진 몸과 마음을 경계코자 함이다. 그 방편으로 삼을만한 문장이라 여겨 길게 옮겼다.
'한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진 벼루의 명(銘) (0) | 2024.01.05 |
---|---|
俗客不到處 (0) | 2023.12.27 |
흥기도덕가(興起道德歌)-(5) (0) | 2023.12.21 |
흥기도덕가(興起道德歌)-(4) (0) | 2023.12.21 |
흥기도덕가(興起道德歌)-(3) (0) | 202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