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법성게
둥글고 묘한 법 참진리의 모습이여
고요할 뿐 동작 없는 삼라의 바탕이여
이름도 꼴도 없고 만일체가 다 없으니
아는 이가 성인이고 한 범부는 왜 모르나
오묘하고 깊고 깊은 미묘한 진성이여
제자리에서 벗어난 듯 온 세계를 나툼이여
그 하나에 모두 있고 많은데 하나있어
하나가 곧 전체이고 전체가 곧 개체이니
한낱 티끌 작은 속에 온 세계를 머금었고
낱낱 티의 티끝마다 온 우주가 다 들었네
한도 없는 긴 시간이 한생각의 일념이고
일찰나의 한 생각이 무량한 듯 긴 겁이니
삼세와 구세십세 엉킨 듯이 한덩인듯
그러하나 따로따로 뚜렷한 망상이여
첫 발심했을 때가 부처님을 이룬 때고
생사고와 열반경계 본바탕이 한 몸이니
있는 듯이 이사분별 흔연히도 없는 그 곳
노사나불 보현님의 부사의의 경계로세
부처님이 해인삼매 그 속에서 나툼이여
쏟아진듯 여의진주 그 안속의 부사의여
만허공을 메워오는 정법비는 거룩했네
제나름의 중생들도 온갖 원을 얻게 하네.
한 행자가 고향으로 깨달아서 돌아가면
번뇌망상 안 쉴려도 안 쉴 길이 가이없네.
무공연의 방편으로 여의보를 찾았으니
자기들의 생각대로 법제상이 풍족하네
끝도 없이 쓰고 쓰는 다라니의 무진보로
불국토의 법왕궁을 여실히도 꾸미고서
중도의 해탈좌에 편안히도 앉았으니
옛날부터 동함 없이 그 이름이 부처일세.
옛날부터 동함 없이 그 이름이 부처일세.
옛날부터 동함 없이 그 이름이 부처일세.
법성게는 신라시대의 고승인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께서 깨닭음의 경계를 글로서 표현한 게송입니다.
의상대사께서는 신라시대(선덕여왕 13년)때
19세로 출가하였으며 당나라에 유학을가서
당나라의 지엄선사 문하에서 8년간 수행을 하면서
깨닭음을 성취하셨고 화엄경의 은밀한 부분까지
공부를 하여 신라에 돌아와
화엄사상을 전국적으로 전파를 하신 분입니다.
법성게의 본이름은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로서
210자 한자로 하나의 도표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도장모양으로 "법(法)"자로 시작하여 "불(佛)"자로
끝맺음을 하였고 현시대로 보면
훌륭하고 기발한 아이디어 산물이라 볼 수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불교에서 사용하는 "법(法)"이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을 해보아야 되겠습니다.
불교에서 많이 쓰고 있는 "법(法)"자가 들어있는
용어로서는 법문,법계,설법,법회,법성,일체법,유위법,
무위법, 색성향미촉법 등등
많은 용어를 우리는 볼수 있습니다.
"법(法)" 은 산스크리트의 다르마(dharma), 팔리어의
담마(dhamma)를 중국어로 번역된 것이며
1. 불변의 진리
2. 부처님의 말씀
3. 삼라만상의 실상
4. 우주만물의 본성
5. 인연법에 의한 현상
6. 마음의 이치
7. 허공
등으로 불릴수 있습니다.
결국 이세상의 모든"법"은 꿈과 같고 환과 같이
잠시 일어 났다가 사라지는 안개와 같음을 알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법"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법성게를 읽는다면 공부하는데 많는 도움이 될것입니다.
본 법성게의 참뚯은 수행을 하신 깨닭은이만의
그 참맛을 알 뿐입니다.
출처:불교인터넷음악방송국
'경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승에 대하여 설명함 한퇴지 (0) | 2016.10.12 |
---|---|
[스크랩] < 소동파의 명언 > (0) | 2016.10.10 |
[스크랩] 기념’두 자의 뜻을 아느냐? (0) | 2016.10.04 |
[스크랩] 참회는 행복의 지름길.... 헤국스님 (0) | 2016.10.03 |
[스크랩] 116. 飢逢王膳不能飡(기봉왕선불능손)이라 病遇醫王爭得差(병우의왕쟁 득차)아 (0) | 2016.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