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전서문(書傳序文)
慶元 己未冬에 先生 文公이 令沈으로 作書集傳 하시고
明年에 先生이 沒커시늘
又十年에 始克成編하니 總若干萬言이라
嗚呼라. 書豈易言哉리요.
二帝三王의 治天下之大經大法이 皆載此書로되
而踐見薄識으로 豈足以盡發蘊奧며
且生於數千載之下하여 而欲講明於數千載之前하니
亦已難矣라
然이나 二帝三王之治는 本於道하고
二帝三王之道는 本於心하니
得其心이면 則道與治를 固可得而言矣리라.
何者오. 精一執中은 堯舜禹相授之心法也요
建中建極은 商湯周武相傳之心法也요
曰德曰仁曰敬曰誠은 言雖殊而理則一이니라
無非所以明此心之妙也라.
至於言天則 嚴其心之所自出이오
言民則 謹其心之所由施니
禮樂敎化는 心之發也요 典章文物은 心之著也요
家齊國治而天下平은 心之推也니 心之德이 其盛矣乎인저
二帝三王은 存此心者也요
夏桀商受는 亡此心者也요
太甲成王은 困而存此心者也라.
存則治하고 亡則亂하나니
治亂之分이 顧其心之存不存如何耳라.
後世人主 有志於二帝三王之治인대 不可不求其道요
有志於二帝三王之道인대 不可不求其心이니
求心之要는 舍是書하고 何以哉리요.
沈이 自受讀以來로 沈潛其義하고
參考衆說하여 融會貫通일새
乃敢折衷이나 微辭奧旨는 多述舊聞이요
二典禹謨는 先生이 蓋嘗是正하사 手澤이 尙新하시니 嗚呼惜哉라.
集傳은 本先生의 所命故로 凡引用師說을 不復識別하고
四代之書를 分爲六卷하니 文以時異나 治以道同이라.
聖人之心이 見於書는 猶化工之妙가 著於物이니
非精深이면 不能識也라.
是傳也 於堯舜禹湯文武周公之心에 雖未必能造其微나
於堯舜禹湯文武周公之書에 因是訓誥하면
亦可得其旨義之大略矣리라.
嘉定 己巳 三月 旣望에 武夷 蔡沈은 序하노라.
가정 기사 삼월 기망에 무이 채침이 머리말을
쓰노라. >
'경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라디오시사고전 ☞ 盈科而後進(영과이후진) (0) | 2016.12.14 |
---|---|
[스크랩] 황태현의 고전 속 성어 <560> 鄕愿, 德之賊也 (영문첨부) (0) | 2016.12.14 |
[스크랩] 유정유일 윤집궐중(惟精惟一 允集厥中) (0) | 2016.12.12 |
[스크랩] 爲山九? 功虧一?(위산구인 공휴일궤) (0) | 2016.12.12 |
[스크랩] 유계. 고산지원법사가 학도들에게 보이신 글. (0) | 2016.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