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생각(思), 열네째 생각(思), 열네째 ● 사람이 마음에서 죽음을 중요히 여김은 그 작용에서 활발함을 귀히 여겨서다. 죽음은 하고자하는 생각이 죽은 것이오, 활발함은 천리理의 나아감이 산 것이다. 저 생각이란 마음의 활기참이다. 시경의 생각에 삿됨이 없다(思無邪) 함이 큰 벼리라면, 중용의 군자가 가.. 경전 이야기 2016.08.28
[스크랩] 이밀의 진정표 이밀의 진정표 臣以險釁(신이험흔)으로 : 저는 불행하게도 夙遭愍凶(숙조민흉)하여 : 일찍이 부모를 잃어 生孩六月(생해육월)에 : 생후 6 개월된 갓난 아이 때 慈父見背(자부견배)하고 : 아버님과 사별하고 行年四歲(행년사세)에 : 나이 네 살 때 舅奪母志(구탈모지)니이다 : 외삼촌.. 경전 이야기 2016.08.25
[스크랩] 목언님 출품자료 - 순자 권학편구 君子曰; 學不可以已. 靑取之於藍, 而靑於藍. 氷水爲之, 而寒於水. 군자들은 "학문은 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푸른 물감은 쪽풀에서 얻지만 쪽풀보다 더 파랗고, 얼음은 물로 이루어졌지만 물보다 더 차다. 木直中繩, 輮以爲輪, 其曲中規, 雖有槁暴, 不復挺者, &#3.. 경전 이야기 2016.08.22
병명 팔첩 南道 정자기행(3194)-곡성 일성재(日省齋) 마음에 부정이 있으면 바룰 것을 생각해야 하고 / 몸에 허물이 있으면 경계할 것을 생각해야지 거듭 조심하고 삼가서 / 증자가 날마다 살피듯 해야지 心有邪曷不思正 身有咎曷不思儆 戒之敬之 如曾子之日省 네 몸에 때가 있으면 / 목욕하여 씻어 .. 경전 이야기 2016.08.14
[스크랩] 수당 선생이 지은 대산 이상정 선생의 시호를 청하는 시장 대산(大山) 이 선생(李先生) 시장 선생은 휘가 상정(象靖)이고 자가 경문(景文)이며 성은 이씨(李氏)인데 한산인(韓山人)이다. 상대(上代)의 조상 중에 가정(稼亭) 문효공(文孝公) 곡(穀)과 목은(牧隱) 문정공(文靖公) 색(穡)이 그 문장과 절행(節行)으로 고려 말엽에 현달(顯達)하였으며, 5대.. 경전 이야기 2016.08.14
[스크랩] 격몽요결 서문 격몽요결(擊蒙要訣) 율곡 이이(栗谷 李珥) 지음. 격몽요결 서문(擊蒙要訣序文) 人生斯世한데 非學問이면 無以爲人하고 所謂學問者는 亦非異常 인 생 사 세 비 학 문 무 이 위 인 소 위 학 문 자 역 비 이 상 別件物事也며 只是爲父當慈하고 爲子當孝하며 爲臣當忠하고 爲 별 건 물사 야 지 .. 경전 이야기 2016.07.29
[스크랩] 서경서문 원문 서전서문(書傳序文) 慶元 己未冬에 先生 文公이 令沈으로 作書集傳 하시고 明年에 先生이 沒커시늘 又十年에 始克成編하니 總若干萬言이라 嗚呼라. 書豈易言哉리요. 二帝三王의 治天下之大經大法이 皆載此書로되 而踐見薄識으로 豈足以盡發蘊奧며 且生於數千載之下하여 而欲講明於.. 경전 이야기 2016.07.28
[스크랩] 서경서문 해석 서전서문 해설 서전서문(書傳序文) 큰 운수를 받으려하는 자는 서전서문(書傳序文)을 많이 읽으라 하시고 또 가라사대 「차생어수천재지하(且生於數千載之下) 이욕강명어수천재지전(而欲講明於數千載之前) 역이난의(亦已難矣)」라는 한 구절은 청수를 떠놓고 읽을만한 구절이니라 (3-13.. 경전 이야기 2016.07.28
[스크랩] 사마온공(司馬溫公)의 독락원기(獨樂園記) 사마온공(司馬溫公)의 독락원기(獨樂園記) 사마온공(司馬溫公)의 이름은 광(光)이고 자는 군실(君實)이며 세상이 그를 속수선생(涑水先生)이라 불렀다. 북송(北宋)때 사람으로 그의 시호(諡號)인 태사온국공(太師溫國公)에서 이름을 따 온공(溫公)이라 불렀다.(1019-1086) 송나라 철종 때에 .. 경전 이야기 2016.07.25
[스크랩] 경작의동행 오, 자부심 강한 보시자여, 갠종의 부자여, 귀 기울이라! 봄철 이 달이 되면 티벳의 농부들은 밭 갈고 씨 뿌리기에 여념이 없네. 수행자 또한 농사짓기에 바쁘네. 수행자는 욕망의 거친 들판에 예비 수행의 퇴비를 뿌리고 다섯 감로수의 수비(水肥)로 적시네. 일심(一心)의 씨앗 가꾸려고 .. 경전 이야기 2016.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