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이야기 639

수기치인(修己治人)

'수기치인(修己治人)' 뜻, 의미, 유래 그리고 실생활 사용 사례 예문 들어가기 전에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의 블로그 글에서는 성어 중 하나인 '수기치인(修己治人)'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 성어는 인간의 내면을 끊임없이 가다듬어 이웃과 세상 모두를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방법에 관한 중요한 원칙을 담고 있습니다. 성어 修己治人은 이러한 가치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학습한 참고자료에서 인사말을 구성하는 주제를 소개해 드리고, '수기치인(修己治人)'에 관심을 가지고 몰입할 수 있는 핵심어부터 시작하여 독자 여러분의 관심을보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이 '수기치인(修己治人)'과 관련된 이야기를 공감하고 공유하면서 자신의 마음을 돌아보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글은..

경전 이야기 2023.09.22

03.무엇을 진인(眞人)이라 하는가(2)?

03.무엇을 진인(眞人)이라 하는가(2)? 옛날의 진인(眞人)은 생(生)을 기뻐할 줄 모르고 죽음을 싫어할 줄도 몰라서, 태어남을 기뻐하지도 아니하며 죽음을 거부하지도 아니하여 홀가분하게 〈세상을〉 떠나며, 홀가분하게 〈세상에〉 태어날 따름이다. 자신의 생이 시작된 곳을 잊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끝나는 곳을 알려고 하지 않아서, 생명을 받아서는 그대로 기뻐하고, 생명을 잃게 되어서는 대자연으로 돌아간다. 이것을 일컬어 심지(心知)로 도(道)를 손상시키지 아니하고, 인위적인 행위로 무리하게 자연의 운행을 조장(助長)하지 않는다고 하니 이런 사람을 일러 진인이라고 한다. ------------------------------ ○ 不知說生(부지열생) 不知惡死(부지오사) : 生을 기뻐(좋아)할 줄 모르고 죽..

경전 이야기 2023.09.22

[[글감]][고방서예자료-23]德崇業廣(덕숭업광)

[[글감]][고방서예자료-23]德崇業廣(덕숭업광) 작성자古方|작성시간10.07.17|조회수290목록댓글 0글자크기 작게가글자크기 크게가 德崇業廣[덕숭업광]의 출전- 小學題辭 - 소학에 쓴 말이라. 元亨利貞은 天道之常이오, 仁義禮智는 人性之鋼이니라. - 봄이되면 만물이 소생하고 여름이 되면 발육하고, 가을이 되면 성숙하며, 겨울이 되면 수장(收藏)하는 것은 하늘의 불변의 법칙이고, 어질고, 옳고,예절바르고, 슬기로운 것은 인간의 본성(本性)이다. 凡此厥初 無有不善하야 藹然四端이 隨感而見이니라 - 무릇 사람의 본성은 선하지않음이 없어서 그 아름다운 仁,義禮,智 네가지 성품의 실마리는 外物에 접하여 느낌이 있음에다라 나타나곤한다. 愛親敬兄과 忠君弟長이 是日秉彛라 有順無疆이니라 . - 어버이를 사랑하고 형을 공..

경전 이야기 2023.09.20

與人不求備

與人不求備 더불 여 사람 인 아니 불 구할 구 갖출 비 檢身不及也 검사할 검 몸 신 아니 불 미칠 급 어조사 야 사람을 대할 때에는 상대에게 완벽하기를 바라지 말며, 자신을 돌아볼 때에는 항상 부족하다고 여겨야 한다. 신하인 이윤(伊尹)이 왕의 스승이 되어 태갑(太甲)을 가르치기를 “아랫사람을 대할 때에 모든 것에 완벽하기를 바라지 말아야 하고, 자신을 반성하고 돌아볼 때에는 자신을 살펴야 할 것이 더 없는가? 생각해야 하고, 또한 항상 자신이 부족하다고 여겨야 한다.”고 가르쳤다.

경전 이야기 2023.09.05

格言격언

1.韓國格言(한국격언) 1)勤爲無價寶(근위무가지보)요 愼是護身之符(신시호신지부)니라. (明心寶鑑) ㅇ직역:부지런함은 값없는 보물이 되고, 삼감은 몸을 보호하는 부적이다. ㅇ속뜻:부지런함과 삼가함은 모두 자신에게 매우 유익한 것이다. 2)讀書(독서)에 豈擇地乎아? 在鄕在京(재향재경)에 惟在立志如何耳(유재입지여 하이)니라. (李滉) ㅇ직역:글을 읽음에 어찌 땅을 가리겠습니까? 시골에 있든지 서울에 있든지 오직 뜻을 세움 이 어떠한가에 달려 있을 뿐이다. 3)無道人之短(무도인지단)하고 無說己之長(무설기지장)하라. (明心寶鑑) ㅇ직역: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기의 장점을 말하지 말라. 4)附耳之言(부이지언)을 勿聽焉(물청언)하고 戒洩之談(계설지담)을 勿言焉(물언언) 하라. (燕巖集) ㅇ직역:귀에 대고 속삭이..

경전 이야기 2023.08.30

8/25금 맑음

ㅇㅇㅇ 유튜브에서 묘향산 보현사 소개해서 잘 시청하였다 할머니와 막내 고모님이 관광 한 사찰이니 더 정겨운 사찰이다 북한 여교수의 안내 말씀도 자세하다 남북이 분단되었지만 정치와 관계없는 공통분모인 역사나 문화 유산은 남북이 공동연구하는것이 좋을것이다 땅이 질어 밭일은 못하고 집주위에 잡초를 제거했다 이교수는 승용차 밧테리를 교체했는지 차를 문앞에 몰아다 놓았다 그동안 남의 차 빌려 타기도 했으니 고생이 많았을것이다 누군가 택배를 보냈다

경전 이야기 2023.08.26

유가사지론각필구결 (瑜伽師地論角筆口訣)

가사지론각필구결 (瑜伽師地論角筆口訣) 목차메뉴 접기 정의 개설 서지적 사항 내용 의의와 평가 참고문헌 글자 크기 의견 제시 URL 복사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언어·문자 문헌 『유가사지론』의 한문 원문을 우리말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각필(角筆)로 토를 단 불교경전. 구결서. 이칭 이칭유가사지론점토구결, 유가사지론점토석독구결, 유가사지론부호구결 접기/펼치기정의 『유가사지론』의 한문 원문을 우리말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각필(角筆)로 토를 단 불교경전. 구결서. 접기/펼치기개설 각필구결(角筆口訣)은 고려시대 이전에 한문 원문을 당시 한국어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하게 토를 단 석독구결(釋讀口訣)의 일종이다. 한자의 자형을 이용한 구결자 대신 각필이라는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점이나 선 모양의 구결점(口訣點..

경전 이야기 2023.08.17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간다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인용: “앞으로 전진하는 길에서 우리는 개혁을 전반적으로 심화해야 합니다. 근대에 이르러 강성하던 중국이 쇠약해진 중요한 한 가지 원인은 바로 봉건 지배자들이 식견이 좁으면서 잘난체하고, 낡은 것을 답습하며, 변화를 무서워하고, 보수적으로 혁신을 원하지 않아 세계의 발전을 따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궁하면 변하고(窮則變), 변하면 통하고(變則通), 통하면 오래 갑니다(通則久).’ 개혁개방은 오늘날 중국의 운명을 결정하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는 핵심적인 조치입니다. 우리는 더 큰 정치적 용기로 개혁과 개방을 추진하면서 난제를 해결하며 어렵고 힘든 임무가 기다리는 험난한 ‘여울’을 건너며 난..

경전 이야기 2023.08.11

勸學文(권학문)-白樂天(백락천)

勸學文(권학문)-白樂天(백락천) 숨은향기 2022. 9. 29. 6:25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勸學文(권학문)-白樂天(백락천) □ 勸學文(권학문) – 백거이(당 766~826) - 백락천의 권학문 ​ 有田不耕倉廩虛(유전불경창름허) : 밭 있어도 갈지 않으면 창고가 비고 有書不敎子孫愚(유서불교자손우) : 책 있어도 안 가르치면 자손이 어리석어진다.. ​ 倉廩虛兮歲月乏(창름허혜세월핍) : 창고가 비면 세월이 궁핍해지고 子孫愚兮禮義疎(자손우혜예의소) : 자손이 어리석으면 예의가 소홀해진다. ​ 若惟不耕與不敎(약유불경여불교) : 만약에 다만 경작하지도 가르치지도 않으면 是乃父兄之過歟(시내부형지과여) : 이것은 바로 부형의 잘못인 것이리라. ​

경전 이야기 2023.08.01

至誠如神(지성여신)

中庸(중용)에 ‘至誠如神(지성여신)’이라는 말이 나온다. ‘至’는 ‘다다르다, 지극한’이라는 뜻이다. 우리말에서는 ‘다다르다’와 ‘지극한’이 서로 다른 말 같지만 한자의 세계에서는 이 두 가지 의미는 같다. 왜냐하면 ‘至極(지극)’은 ‘極度(극도)에 다다르다‘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誠’은 ‘言’과 ‘成’이 합쳐진 글자이다. ‘言’은 ‘말’이라는 뜻이고, ‘成’은 ‘이루다’라는 뜻이므로 ‘誠’은 ‘자기가 한 말을 행동으로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誠’이 ‘정성, 순수한 마음, 참되다, 진실한’이라는 뜻을 갖는 이유는 이것이다. 중국인은 자신이 한 말을 실행하는 것, 언행이 일치되는 것을 ‘정성, 진실, 참되다’라고 본 것이다. ‘如’는 ‘같다’라는 말이다. ‘神’은 ‘示(시)’와 ‘申(신)’이 합쳐진 ..

경전 이야기 202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