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서경집전(書經集傳) - 서경집전서(書經集傳序).우서(虞書) 1 *현토완역 서경집전(書經集傳) ▣ 현토완역(懸吐完譯) 서경집전(書經集傳) 『○ 서경집전서(書經集傳序)+1』 『○ 서경 ; 우서(虞書)+2』 『○ 서경 ; 하서(夏書)+88』 『○ 서경 ; 상서(商書)+220』 『○ 서경 ; 주서(周書)+408』 『○ 서경 ; 부록+952』 *서경집전서(書經集傳序) ▣ 서경집전서(.. 경전 이야기 2016.12.01
淵澄取映연징취영 <<노자>>8장에도 나오지요. 좋은 연못처럼 마음 두라고요... 좋은 땅에 머물고 居善地 좋은 연못처럼 마음두며 心善淵 좋은 사람과 더불고 與善仁 좋은 믿음으로 말하며 言善信 좋은 다스림으로 바르게 살고 正善治 좋은 능력으로 일하며 事善能 좋은 때에 움직여라 動善時 무위.. 경전 이야기 2016.11.30
[스크랩] 《 荀子》 勸學篇 第一 . 《 荀子》 勸學篇 第一 《勸學》 勸學: 君子曰: 學不可以已。青、取之於藍,而青於藍;冰、水為之,而寒於水。 木直中繩,輮以為輪,其曲中規,雖有槁暴,不復挺者,輮使之然也。 故木受繩則直,金就礪則利, 君子博學而日參省乎己,則知明而行無過.. 경전 이야기 2016.11.29
[스크랩] 小學題辭 【小 學 題 辭】 ▣ 元亨利貞 天道之常 仁義禮智 人性之綱 봄이 되면 만물이 소생하고(元) 여름이 되면 자라고(亨) 가을이 되면 성숙하고(利) 겨울이 되면 거둬들이는 것(貞)은 하늘의 불변하는 법칙이며 어질고(仁) 의롭고(義) 예절이 바르고(禮) 지혜로운 것(智)은 변하지 않는 인간의 본.. 경전 이야기 2016.11.28
[스크랩] 팔만대장경을 만든이유? 몽골 침입때에 초조대장경, 그리고 속장경 이 모든것이 불에타버렸습니다. 고려에서는 대장경 간행작업을 거국적으로 다시시작했는데... 이렇게 해 전쟁중의 어려운 상황에서 나온 것이 팔만대장경!!! 입니다~! 고려는 불교문화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찬란한 불교문화를 꽃피웠습니다. .. 경전 이야기 2016.11.27
[스크랩] 小學書題,小學題辭 小學書題 古者小學에 敎人以灑掃應對進退之節과 愛親敬長隆師親友之道하니 皆所以爲修身齊家治國平天下之本이니 【集解】小學은 小子所入之學也라 三代盛時에 人生八歲어든 皆入小學而受敎焉하니라 灑는 謂播水於地하여 以浥塵이요 掃는 謂運帚於地하여 以去塵이라 應은 .. 경전 이야기 2016.11.27
[스크랩] 小學題辭(소학제사) 小學題辭(소학제사) 元亨利貞은 天道之常이요 仁義禮智는 人性之網이니라. (원형이정 천도지상 인의예지 인성지강) 원형리정(모든생물의 존재형태)은 天道의 떳떳함이요, 인의예지는 人性의 벼리이다. 凡此厥初 無有不善하야 藹然四端이 隨感而見이니라. (범차궐초무유불선 애연사.. 경전 이야기 2016.11.24
[스크랩] 소학제사(小學題辭) 元亨利貞(원형리정) 天道之常(천도지상) 仁義禮智(인의예지) 人性之綱(인성지강) 봄이 되면 만물이 소생하고, 여름이 되면 발육하고, 가을이 되면 성숙하며, 겨울이 되면 수장(收藏)하는 것은 하늘의 불변(不變)의 법칙이고, 어질고(仁), 옳고(義), 예절바르고(禮), 슬기로운 것(智)은 인간.. 경전 이야기 2016.11.21
[스크랩] 신독잠(愼獨箴). 수식잠(數息箴) [한국고전번역원과 함께하는 잠언] . [한국고전번역원과 함께하는 잠언] 신독잠(愼獨箴) 신독잠(愼獨箴) - 홀로일 때 삼가라 깊숙한 방 안 말없이 거처할 때 보고 듣는 이 없어도 신은 너를 지켜본다 나태함을 경계하고 나쁜 생각 막아 내라 처음에 막지 않으면 악이 점점 자라 하늘까지 차오르리라 위로 하늘 아래로 땅이 내.. 경전 이야기 2016.11.19
[스크랩] 왕양명의 ‘전습록’ “사욕에 가려지지 않는 마음이 곧 ‘天理’” 불교로 읽는 古典- ③왕양명의 ‘전습록’ 上 송재운 동국대 명예교수 ▲ 왕양명(1472~1528)의 고향 저장성 여요에 있는 왕양명의 흉상. 그는 형식화된 주자학을 비판하고 새로이 양명학을 창시했다. 〈전습록〉은 ‘양명학’의 교전(敎典)이.. 경전 이야기 2016.11.17